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뉴스1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1일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와 관련해 “준비가 부족했다는 평가를 들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전반적으로 한 후보자가 자료를 거의 내지 않았다”고 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야당 간사인 박 의원은 이날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에서 “애초부터 청문회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기가 어려운, 준비를 하기도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며 이 같이 말했다.

한 후보자 청문회에서는 김남국 민주당 의원이 이모(某) 교수를 이모(姨母)로 착각해 질의하고, 최강욱 민주당 의원은 한 후보자 딸이 입시용 스펙을 쌓기 위해 어머니 인맥을 이용해 노트북을 후원받아 자신 명의로 보육원에 기부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최 의원은 “물품을 지급했다는 기증자가 한 아무개로 나왔다”고 했는데, 한 후보자는 “한○○이라고 돼 있는 건 ‘한국쓰리엠’ 같다”고 했다.

박 의원은 “(한 후보자가) 서면질의에 대한 답변도 기한을 전혀 지키지 않았고 제출한 답변도 거의 한 줄짜리였다”며 “여러 케이스들을 봤지만, 서면질의 답변제출 기한을 지키지 않은 경우는 처음”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기한조차 지키지 않았고 대부분 질의에 대한 답변이 거의 천편일률적이었다”고 했다.

그는 한 후보자 자녀의 논문 대필·표절 의혹을 거론하며 “이런 것들은 전혀 해소가 안 됐고, 무엇보다도 스펙을 쌓은 이유가 뭐냐고 물었을 때 ‘대학 입시용 아니다. 본인이 취미라든지 학문의 즐거움을 느끼기 위해 했던 여러 활동을 아카이빙한 것에 불과하다’고 했는데 이게 어떻게 의혹이 해명된 것이냐”고 했다.

진행자인 김씨가 ‘노트북 기부에 대해 제3자 뇌물죄, 배임증재가 구성이 되느냐’고 묻자, 박 의원은 “기부를 받았던 단체 차원에서 누구의 어떤 덕으로 물품을 받았다는 것을 인식했다면 제3자 뇌물이라든지 이런 것도 구성이 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과거에 정치인들이 어떤 기업으로부터 물품을 받아서 본인 이름으로 기증을 한 게 아니라 기업 이름으로 기증을 하며 ‘이거 다 제가 한 겁니다’라고 말해 문제가 됐던 케이스들도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