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과 함께 추진된 문재인 전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만남이 사실상 무산됐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18일(현지 시각) 브리핑에서 “문 전 대통령과 예정된 면담은 현재로선 없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 측 관계자도 19일 “미국에서 회동이 어렵겠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전했다.
문 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회동은, 문 전 대통령이 퇴임하기 전인 지난달 28일 당시 청와대가 먼저 공개한 사안이다. 당시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상호 신뢰 차원에서 구체적인 회동 일정을 협의 중”이라고 했다. 청와대는 회동이 미국 측 요청에 따라 추진되는 것이라고 했다. 이에 따라 바이든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22일쯤 문 전 대통령을 만날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그러나 백악관이 회동 계획을 부인하면서, 결과적으로 청와대의 지난달 발표는 일정 확정도 안 된 상태에서 성급하게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문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회동 무산 이유는) 미 측에서 정확히 답변해야 될 것 같다”며 “바이든 대통령이 보자고 연락이 온 건 분명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윤 의원은 “분명한 건 문 대통령은 가만히 있었다는 것”이라고도 했다. 애초 문 전 대통령이 요청한 게 아니라는 것이다.
문 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회동이 알려진 뒤, 일각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문 전 대통령에게 ‘대북 특사’를 요청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왔다. 윤 의원은 이에 대해서도 “대북 특사 주체가 대한민국 정부라면 미국이 관여할 바가 아니고, 특히나 미국 대통령이 이야기할 건 더더욱 아니다”라며 “윤석열 정부가 답을 해야 되는 것이고, 지금 북한의 코로나 상황이 특사를 받을 조건이 전혀 아니라고 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