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박지현 공동 비상대책위원장은 23일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여성가족부를 폐지하겠다면서 어떻게 여성들에게 기회를 매우 적극적으로 보장한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한·미 정상회담 공동 기자회견 당시 윤 대통령과 미국 워싱턴포스트(WP) 기자가 주고받은 질의응답을 언급하며 이같이 밝혔다.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WP 한 기자는 윤석열 정부 1기 내각의 성비 불균형을 지적하면서 “지금 한국의 내각을 보면 여성의 비율이 낮고, 한국 같은 경우 여성의 대표성이 상당히 적다”라고 했다.
이 기자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여성가족부 폐지를 주장했는데, 어떻게 하면 여성들의 대표성을 향상할 수 있겠나. 또 성평등을 향상하기 위해 대통령과 행정부는 어떤 일을 할 수 있나”라고 물었다.
윤 대통령은 이 질문에 “지금 공직사회에서, 예를 들면 내각의 장관, 그러면 그 직전 위치까지 여성이 많이 올라오지 못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아마 여성에 공정한 기회가 더 적극적으로 보장되기 시작한 지가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래서 이러한 기회를 더 적극적으로 보장할 생각”이라고 했다.
박 위원장은 이에 대해 “윤석열 정부 1기 내각에는 장관과 수석까지 통틀어 여성은 겨우 3명이고, 부처 차관과 차관급 인사 41명 중 여성은 고작 2명”이라며 “남성만의 정부를 만들어 놓고, 성평등을 향상하고 기회를 적극적으로 보장하겠다는 말을 아무 거리낌 없이 할 수 있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라고 했다.
박 위원장은 “답변을 해놓고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하셨다면 양심은 있는 것이고, 답변한 내용이 말이 된다고 생각하셨다면 무지한 것”이라면서 “여성가족부가 해왔던 성평등 사업, 성범죄 피해자 지원과 안전 보호,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을 삭제하는 마당에 어떻게 여성의 권리보장을 실현하겠다는 것이냐”라고 했다.
박 위원장은 “지금이라도 성평등 내각으로 전면 개편을 하겠다고 선언하시기 바란다.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는 발언을 사과하고, 여가부 폐지 공약도 철회하시기 바란다”며 “한·미 정상회담이 윤 대통령이 성평등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