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남국·김용민 의원 등 ‘처럼회’ 소속 강경파 초선 의원들이 6·1 지방선거 패배와 관련해 당내에서 제기된 ‘이재명 책임론’에 대해 4일 반격하고 나섰다. 이들은 이재명 의원에 대한 책임론을 주장하는 당내 의원들을 향해 “반성보다 당권에 대한 사심이 가득해 보인다” “상처에 소금을 뿌리는 꼴” 등이라고 했다.
대선 당시 이 의원의 수행실장을 맡았던 김남국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전날 열린 당무위원·국회의원 연석 회의에서 ‘이재명 책임론’이 대두된 것과 관련해 “오로지 네 탓 타령만 가득했다. 반성보다 당권에 대한 사심이 가득해 보였다”며 “민주당 쇄신 의지가 아니라 계파의 이익이 먼저인 것 같아 너무 안타깝다”고 했다.
‘이재명 책임론’은 당내 친문(親文) 그룹을 중심으로 터져 나왔다. 대선 패배의 책임이 있는 이 의원과 송영길 전 대표가 이번 지방선거 전면에 나선 것이 선거 패배 원인이었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이와 관련해 “마치 ‘작전’ 하듯이 국회의원 10여분께서 일제히 SNS에 글을 올리고, 일부는 방송에 출연해 일방적인 주장을 했다”고도 했다. 그는 “전국에서 고군분투하는 후보와 당원들, 지지자들이 정말 절박한 마음으로 간절하게 선거 운동을 하고 있을 때, 일부 의원들은 ‘이재명 죽이기’를 기획하고 있었던 것 같다. 이것은 대선 때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같은당 김용민 의원은 “문제점을 파악하지 못하는 국회의원들과 당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사람들은 이제 정신 차려야 한다”며 “당권 장악 등 권력투쟁을 하는 것은 당연하게 생각하면서 당 외부 정치세력과 권력투쟁을 피하는 정치인들은 결국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을 탈당한 무소속 민형배 의원도 이 의원에 대한 책임론을 주장하는 의원들을 향해 “좀 잔인한 게 아닌가. 피를 철철 흘리고 있는 자기 당 동지들의 상처에 소금을 뿌리니 말이다”라며 “한 번 더 칼질하겠다는 의도는 아니었으면 좋겠다. 경쟁자를 죽이겠다고 덤비는 심보는 제발 아니기를”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