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서해상에서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대준씨가 북한군에 총살돼 시신이 소각된 사건에 대한 진상 규명 초점이 ‘문재인 전 대통령 6시간’과 서훈 당시 청와대 안보실장으로 모아지고 있다. 이씨 유족은 문 전 대통령이 사건을 처음 보고받고 이씨가 살해당할 때까지 6시간의 행적을 밝혀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해외 체류 중으로 알려진 서 전 실장의 귀국과 조사 협조를 촉구했다.
이씨 유족은 24일 국회에서 국민의힘 ‘해수부 공무원 피격사건 진상조사 TF’와 간담회를 했다. 이씨의 형 이래진씨는 문 전 대통령이 ‘북한 해역 발견’ 보고를 받고 총살 때까지 6시간이 “동생을 구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었다”고 했다. 그는 “문 전 대통령의 6시간을 밝히기 위해 정보 공개 청구를 했지만 대통령 기록관이 거부했다”고 했다. 유족 법률대리인인 김기윤 변호사는 “이제 (진상 규명 활동은) 두 가지 방향으로 갈 것”이라며 “문 전 대통령과 정부가 6시간 동안 무엇을 했는지, 해양 경찰과 국방부는 왜 이씨가 자진 월북한 것이라고 발표했는지에 관해 (규명의) 방점을 둘 것”이라고 했다. 유족들은 27일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대위원장과 박홍근 원내대표를 방문해 당시 청와대 조치에 관한 대통령 기록물 공개에 동의해줄 것을 요청하겠다고 했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서 “대한민국 공무원이 공무 수행 중에 북한에 의해 살해당한 것도 모자라 월북으로 매도당했다”며 “어떤 계기를 통해 이런 말도 안 되는 일이 벌어졌는지 유족은 물론 온 국민이 다 알아야 한다”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월북 몰이’의 핵심 인물로 서 전 실장을 지목하며 “전직 국정원 직원들 이야기에 따르면 서 전 실장이 지금 국내에 없다는 소문이 있다”며 “서 전 실장은 하루 빨리 귀국해서 사건의 진실을 밝히는 데 협조하라”고 했다.
당시 국가안보실은 이씨가 북한 해역으로 표류했다는 사실이 청와대에 보고된 이후부터 정부 대응을 총괄했다. 서 전 실장은 이씨가 총살당하고 시신이 불태워졌다는 첩보가 입수된 직후인 2020년 9월 23일 새벽 관계장관 회의를 주재했다. 문 전 대통령은 잠을 자고 있었다. 당시 청와대는 문 전 대통령이 23일 아침에야 피살 보고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서 전 실장은 이틀 뒤인 9월 25일 김정은이 보내온 ‘사과’ 통지문을 언론 앞에서 직접 읽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