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은 8일 국정원·군의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첩보 삭제에 대해 “국가기밀 삭제가 아니고 첩보 유통망 정비”라고 했다. 우 위원장은 이날 라디오에서 이같이 밝히며 “첩보를 너무 많은 기관과 공유하면 밖으로 샐 수 있으니 기밀 관리 차원에서 정비했다고 한다”고 했다. 국정원의 박 전 원장 고발이 군사통합정보처리체계(MIMS)를 잘못 이해해 비롯된 것이라는 주장이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이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우 위원장은 “국정원을 전면에 내세워 정치공작을 하려는 느낌”이라며 “신색깔론이 전 정권을 때리기는 좋지만, 과연 이런 식의 사정 정국 조성이나 보복 수사가 성공한 적이 있나. 큰 경제 위기가 오고 있는데 전 정권 공격에만 집중해 복합 위기를 극복할 수 있겠나”라고 했다.

우 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도 “국정원이 박 전 원장에 의해 삭제됐다고 주장하는 기밀문서의 실제 삭제 권한은 군에 속한다는 사실이 드러났지만 전임 원장을 고발하며 사실관계도 확인하지 않았다”며 “국정원의 정치 개입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심지어 전 정부에 친북 딱지를 붙이고 정치 보복을 하려다가 국가 기밀의 유통 방식까지 드러나게 하는 이런 멍텅구리 같은 짓을 한 것”이라며 “전 세계 어느 정보기관이 이런 멍청한 짓을 저지르나. 반드시 응분의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민주당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관련 태스크포스(TF)는 이날 안보실에 대한 서면 질의서를 대통령실에 전달했다. 민주당은 이번 논란이 대통령실이 개입된 ‘정치 사건’이라는 입장으로, 대통령실이 관련 입장을 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오영환 원내대변인은 “비선 정치 뉴스를 국가 범죄 뉴스로 덮으려던 윤석열 정부의 시도가 오히려 뉴스를 코미디로 만들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