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 /SBS
22일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채널A 사건'을 두고 부딪혔다.

이른바 ‘채널A 사건’의 당사자인 더불어민주당 최강욱 의원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국회에서 정면으로 충돌했다.

22일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은 최 의원의 법사위원직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국민의힘 법사위 간사인 정점식 의원은 “한 장관과 최 의원의 관계는 다른 일반 형사사건 피의자였느냐의 문제를 떠나서 (최 의원은) 직접적으로 한 장관의 발언 내용 여부에 관해 기소됐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채널A 사건’과 관련해 이동재 전 기자의 발언을 허위로 과장한 글을 올린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검찰은 1심에서 최 의원에게 징역 10개월을 구형했다.

이에 최 의원은 “개인적인 원한 감정이 있거나 정권 차원의 주문이 있는 게 아닌지, 어이가 없고 기가 막힌다”고 말했다. 이어 “법사위에 피고인이 저 한 명이냐”며 “한 장관과 저의 개인적인 관계를 왜 공식적인 자리에서 부각시키는지 모르겠는데, 검사와 피의자로 만난 적 있습니까?”라고 물었다.

한 장관은 “제가 피해자입니다. 기소되셨잖아요”라며 “그러니까 이해충돌이 있다는 얘기”라고 답했다. “내가 더 피해자라고 보는 게 맞지 않나”라고 말을 이어가던 최 의원은 한 장관의 발언에 “어디 끼어들어가지고 신상발언 하는데. 그런 태도를 바꾸란 말입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 의원은 “어딜 지금”이라고 말한 후 “이런 식의 모습들을 원하는 건가. 법사위 분위기 흐리고 파행 원하는지 모르겠는데 그만하시기 바란다”고 했다. 이어 “법사위원으로서 발언하는 내용이 본인 재판과 수사와 관련해 이해충돌을 불러올 만한 구체적인 이야기를 한다거나 압력을 느낄 수 있는 발언을 한다면 지적하고, 윤리위원회에 제소하는 방법을 택하길 권한다”고 했다.

그는 “법사위원의 지위를 남용해서 재판에 압력을 넣으려고 했다면 제 사건 처리 결과가 그 모양 그 꼴로 진행되고 있는 것인지, 스스로도 충분히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최 의원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아들에게 허위 인턴확인서를 발급한 혐의로 2심에서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대법원에서 확정되면 의원직이 상실된다.

발언 기회를 얻은 한 장관은 “이해충돌에 관해 결정하는 건 국회의 권한이기에 결정되면 따르겠다”면서도 “(최 의원은) 기소되고 재판받는 당사자가 법무부와 대법원 수장에게 문제를 제기한다는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한 장관은 “조 전 장관 관련한 사건은 제가 반부패부장으로 기소에 직접 관여했고, 채널A 사건 관련 부분은 저를 타깃으로 한 허위사실을 퍼트려서 기소돼서 재판받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그 사건의 사실상 피해자는 저고, 가해자는 최 의원”이라며 “그런데 가해자가 법사위원 자격을 이용해서 피해자에게 질문하는 것이 국회법상 이해충돌에 해당하지 않는지 명확하게 짚고 넘어갔으면 좋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