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뉴스1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방송 인터뷰에서 공개적으로 현 정부를 신군부에 비유했다. 이 전 대표는 비상대책위원회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 담당 법원에 제출한 자필 탄원서에서 윤 대통령을 신군부에 비유해 친윤(친윤석열)계가 반발한 바 있다.

이준석 전 대표는 24일 SBS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에 출연해 “이런 중차대한 정치적 문제(내부 총질 문자 사태)들을 그냥 뭉개면서 가고 우리가 미안하다고 하기도 그렇고 우리가 설명하기도 좀 그러니까 그냥 이준석 자리를 지워버리고 비대위로 가자. 이게 정의롭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없을 것”이라며 “이런 일이 반복되면 그게 신군부”라고 했다.

‘최근 행보가 윤석열 정부를 망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질문에는 “어느 시점이라도 유감 표명이라든지 적절한 해명이 있었다고 한다면 여기까지 안 왔다”라며 “앞으로 이런 것이 대한민국의 국정을 운영하는 방식이 되어서는 안 된다. 어떤 문제가 있을 때 그것을 힘으로 찍어내리거나 아니면 세력의 크기로 덮어버리려고 하는 이런 모양새가 우리가 비판하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대한 지점이기도 하다”고 했다.

이어 “신군부 지적이라는 것도 신군부가 했던 양태에 대해서 얘기를 한 것”이라며 “서울의봄이 왔을 때 서울역 회군이라는 것이 있었다. 그때 신군부는 힘으로 찍어 누르니까 되는 구나 해 가지고 그 며칠 뒤에 더 엄청난 일(5‧18 광주 민주화운동 유혈 진압)을 벌인 것”이라고 했다.

이 전 대표는 “지금도 마찬가지인 게 정치하는 사람들이 정치의 영역 안에서 이 문제를 바로잡지 못하면 나중에 더 넓은 영역에서 그런 것들을 국민들이 감내해야 될지도 모른다”라며 “만약에 저에 대해서 비판을 하고 싶은 분이 있으면 이 사태가 과연 제대로 된 상황인지 아닌지부터 판단하시고 그 평가를 역사에 남기시고 저에 대해서 조언을 하셨으면 좋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의 사과나 유감표명을 원하냐’는 질문에는 “안 할 거니까 저는 기대도 안 한다”라며 “윤석열 정부의 특징이 정치의 실종이다. 정치의 실종이라는 것이 앞으로 윤석열 정부에 있어서 큰 리스크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 전 대표는 “대통령께서는 과거에 박근혜 (전) 대통령 수사를 세게 했다. 대통령이 여당에 대해서 여러 가지 정치적으로 언급을 한다든지 아니면 공천에 의견을 낸다든지 이런 것들이 사실 관례적으로 있었던 것”이라며 “굉장히 엄격한 그물코를 스스로 만드신 거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시점에 정치로 풀어야 되는 상황이 있을 때 대통령이 그 말을 하는 걸 굉장히 두려워하는 상황이 됐다”고 했다.

‘요즘 감정적으로 비슷한 얘기를 이곳저곳에서 하다 보니 듣기 싫다는 사람도 있다’는 지적에는 “그게 지금 정권과 정권의 핵심이 생각하는 대응 방식일 것”이라며 “과거에도 보수 정권에서 그런 걸 뭉개는 방식으로 가다가 나중에 더 큰 폭탄이 터지는 경우가 많았다. (십상시 문건) 한 2년 뒤에 최순실 사태라는 게 터지면서 결국에는 정권이 무너지는 계기가 됐다. 박근혜 정부 때 복지부동했던 사람들이 지금 다 어떻게 됐나”라고 했다.

차기 총선에서 본인이 공천 탈락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들이 공천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전 대표는 “그때 가서 한번 보자. 윤핵관이 공천받을 수 있는지”라며 “나중에 가면 윤핵관이라 불리시는 분들이 오히려 윤석열 각성해라 이러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게 살아온 분들이 보통 그렇게 하는 거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