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케이스탯리서치가 실시한 신년 기획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32.3%가 매일 한두 편의 정치·시사 관련 유튜브를 본다고 답했다. 매일 여러 편을 본다고 답한 사람도 14.6%였다. 국민 절반 가까이가 매일 정치 유튜브를 본다는 것이다. 이념 성향별로는 자신을 보수라고 밝힌 응답자 중 54.2%, 진보라고 밝힌 사람 가운데는 52.9%가 매일 정치 유튜브를 시청한다고 답해, 중도층(39.1%)보다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50대(57.3%)가 정치 유튜브를 가장 많이 봤고 20대(26.7%)가 적게 봤다.
정치·시사 유튜브 시청은 일상 속 ‘정치 갈등’에도 영향을 미친다. ‘정치적 성향이 다른 사람과의 식사·술자리가 불편하다’고 답한 비율은 정치 유튜브를 안 본다고 답한 사람 가운데선 37.6%인 반면, 매일 여러 편을 본다는 응답자층에서 53.3%로 15%포인트 이상 높았다. 정치 유튜브를 많이 보는 사람일수록 ‘정치적 성향이 다른 상대를 배우자나 자녀 배우자로 삼는 것이 불편하다’고 답한 비율도 높았다.
정치·시사 유튜브는 시민들에게 다양한 정치적 토론장을 제공하는 순기능이 있다. 선거 기간에는 후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도 한다. 하지만 일부 극단 유튜브 채널들은 의혹 짜깁기 영상을 만들고, 가짜 뉴스를 무차별 전파하며 정치적 양극화를 키운다. ‘입맛에 맞는’ 영상에 열광하는 극단적 지지층일수록 적극적으로 후원금을 내기 때문에 더 자극적인 콘텐츠를 양산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것이다.
이미 본 콘텐츠를 기반으로 비슷한 영상을 추천하는 유튜브 알고리즘 역시 시청자의 정치적 신념을 강화시킨다. 연세대 함민정 연구원은 정치 유튜브를 보는 22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이용자의 신념과 일치하는 콘텐츠에 선택적으로 노출될수록 정치적 태도가 극화된다”며 “기존의 정치적 소신과 태도를 고착화시키며 정치적 대립을 유도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