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송원영 기자 =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3.4.3/뉴스1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제주 4·3 사건을 “김일성이 배후”라고 말해 제주 시민단체와 야권에서 사과 요구가 나온 것에 대해 “어떤 점에서 사과해야 하는지 납득이 안 된다”고 했다.

태 최고위원은 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4.3사건은 남로당의 무장폭동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남로당과 아무런 관계가 없던 수 많은 무고한 민간인 희생자를 낸 현대사의 비극”이라며 “이런 역사의 진실은 부인하면 안 된다”고 했다.

이어 “단, 이러한 것을 빌미로 국가 권력이 과도하게 진압하는 과정에서, 이념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수많은 제주도민이 억울하게도 희생됐다”며 “그래서 저는 이 문제와, 4월 3일에 일어났던 이 문제는 구분해서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논란이 된 발언은 태 최고위원이 지난 2월 제주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 합동연설회에서 “4.3사건은 김씨 일가에 의해 자행된 만행”이라며 “김일성 정권에 한 때 몸담았던 사람으로서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무릎을 꿇고 용서를 빈다”고 한 것이다. 이에 제주4·3희생자 유족회 등 관련 단체들이 사과를 요구했고, 더불어민주당도 국회 윤리위원회에 태 최고위원을 제소하는 등 강하게 반발했다.

태 최고위원은 3일 ‘관련 발언에 대해 사과할 의향이 없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저는 어떤 점에서 사과해야 하는지 아직까지 납득이 되지 않는다”며 “제주도민들에게 용서를 빌었던 제가 그분들에 대해 조롱하거나 폄훼한 일은 한 번도 없었다. 그분들의 아픔을 치유해주고 한 발언이었다”고 답했다.

김일성 일가를 4·3사건의 배후자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4·3사건에 대한 용어부터가 동의할 수 없다”며 “그날 일어난 일은 남로당 제주도당의 결정이고, 21개 경찰서와 관공서에 대한 무장공격이다. 국가권력 및 극우단체에 의해 많은 무고한 분들이 희생됐는데, 아픔을 치유하고 명예회복을 위해 여야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