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참모들에게 공교육에서 다루지 않은 소위 ‘킬러 문항’(초고난도)과 관련해 “약자인 우리 아이들을 가지고 장난치는 것”이라고 비판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수십만 명의 수험생들을 대상으로 한 부적절하고 불공정한 행태”라며 이같이 말했다고 대통령실 관계자가 19일 본지 통화에서 전했다. 공교육 교과 과정 밖에서 꼬아서 출제되는 이러한 문항이 학생들을 사교육으로 내몰고 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고도 성장기에는 사교육 부담이 교육 문제에 그쳤지만, 지금처럼 저출산 고령화의 저성장기에는 치명적 사회 문제를 야기한다”라고도 했다고 한다. 학생들이 사교육에 의존하면 부모 역시 사교육비 부담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되면서 악순환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2020학년도 수능 국어 문제를 ‘킬러 문항’의 예로 들며 “사설 학원의 일타 강사들 도움 없이 이런 고난도 수준의 문제를 풀 수 있는 고교생이 있을까”라고 했다.
김 원장은 “경제학적 지식이 필요한 이런 어려운 문제를 국어 시험에서 풀어보라고 한다”며 “어안이 벙벙하고 화가 치밀어 올랐다”고 했다. 국어 문제로 출제된 해당 문항에는 ‘자기 자본’ ‘위험 가중 자산’ ‘바젤 협약’ 등 전문적인 경제 용어가 다수 등장했다.
김 원장은 “윤 대통령의 발언은 이런 어처구니 없는 현실을 개선하라는 취지”라고 했다.
여권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검찰 재직 시절에도 대입 부정 사건 등을 다수 처리하면서 수능 문제와 관련해 상당한 식견을 갖추고 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의 ‘공교육서 다루지 않은 분야 수능 출제 배제’ 지시와 관련해 야권에서 나오는 “잘 모르면 가만 있으라”는 공세를 반박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