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법리스크와 관련 “이재명 대표는 문화적인 폭력을 당하고 있는 피해자”라며 “사실은 조국(전 법무부 장관)이 당하는 거나 이재명이 당하는 거나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추미애 전 장관은 21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이재명 대표는 대장동 사건으로 그냥 막 색칠이 되어 있다”며 “사람들은 그 복잡한 사건에 대해서 맥락을 잘 짚어내지를 못한다. 언론이 잘 짚어내지도 않는다”고 했다.
추미애 전 장관은 윤석열 정부를 직접적인 폭력, 구조적인 폭력, 문화적인 폭력를 구축하고 있는 검찰 국가라고 규정하며 “이재명 대표가 문화적인 폭력을 당하고 있는 피해자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일제 통치가 손쉬웠던 게 피해자끼리 밀정이 되어서 우리나라 국민을 괴롭혔기 때문”이라며 “마찬가지로 이재명 대표도 민주당 안에서 저격을 당하는 거다. 그러니까 사람들은 정말 사법 리스크가 맞나 보다. 이렇게 생각하는 거다”라고 했다.
이재명 대표가 불체포특권 포기를 선언한 것에 대해서는 “그런 국가 폭력에 대해서 이재명 대표가 혼자서 감당할 일이 아니다”라며 “제2의 이재명이 있을 수 있다”고 했다.
추미애 전 장관은 “어떤 보호 장치도 내가 가지고 있지 않겠다고 하는 그런 무저항 정신”이라며 “참 눈물 나는 것”이라고 했다.
진행자가 비폭력 저항 운동을 했던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와 같은 것’이냐고 묻자 추미애 전 장관은 “네”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추미애 전 장관은 “지금 당내 투쟁에 몰두할 때가 아니다”라며 “지금 우는 아이도 호랑이가 겁나는 게 아니라 압수수색이 겁난다고 한다. 이런 때에는 이 구조적 폭력에 대한 투쟁을 해 줘야 되는 거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