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청서 춤추는 중공군… 1951년 1월 4일 서울을 점령한 중공군이 중앙청(1995년 철거) 건물 앞에서 춤을 추며 승리를 자축하는 모습.

광주 출신 중국 음악가 정율성(1914∼1976)이 1951년 1·4 후퇴 때 중공군과 함께 서울에 내려와 조선궁정악보 등 조선 왕실 관련 유물을 중국에 가져간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중국 인민해방군 행진곡과 북한 조선인민군 행진곡을 작곡했던 그는 6·25 개전 초기에는 북한이 점령한 서울에 머물다 서울 수복 이후 중국으로 피신했다. 호남 일부 시민 단체와 보훈 가족들은 “단순 부역자도 아닌 적화통일의 선봉에 섰던 사람을 거액의 세금을 들여 기념한다는 것은 국가 정체성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정율성 기념공원 사업 백지화를 촉구했다.

본지가 입수한 정율성 관련 저서·논문을 보면, 정율성은 1950년 12월 중국에서 중국인민지원군 창작조와 함께 북한으로 넘어온 뒤 이듬해 1월 서울에 내려왔다. 중공군이 1950년 11월 국군·유엔군에 밀리는 북한을 돕기 위해 전쟁에 개입, 대규모 공세로 1951년 1월 4일 서울을 함락하던 무렵이다. 당시 정율성은 1956년 귀화하기 전이었지만 그의 중국인 아내 딩쉐쑹(丁雪松·정설송)이 중국 총리 저우언라이(周恩來·주은래)의 양녀여서 중국 공산당에서도 유력 인사로 꼽혔다고 한다.

전국학생수호연합 광주지부 학생들이 27일 광주 남구 양림동 정율성로에서 정율성기념공원 조성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김영근 기자

‘항일음악전사 정율성(대동문화)’ 등에 따르면, 정율성은 서울에 머물면서 사대문 내 주요 시설, 고위 관료 사택 등을 뒤지고 다니다 ‘조선궁정악보’를 손에 넣었다. 광주문화재단 자료 등에 따르면, 그가 전쟁 중 챙긴 궁정악보는 종묘제례악과 연례악 등 2부 18집에 달한다. 그는 이 궁정악보를 중국으로 가져갔으며 그가 사망한 뒤 그의 아내 딩쉐쑹이 한중 수교 이후인 1996년 한국 정부에 돌려줬다. 군사편찬연구소 관계자는 “중공군이 서울에 머무는 두 달여 동안 대규모 인명 피해뿐 아니라 문화재·유물 약탈, 파괴 행위가 벌어졌다”고 말했다.

정율성은 개전 초 북한군이 서울을 점령했을 때는 아내 딩쉐쑹과 함께 내려왔다. 딩쉐쑹은 그해 7~8월 먼저 중국에 돌아갔으나 정율성은 9월 인천상륙작전 직후까지 서울에 머물다가 중국으로 간 것으로 기록됐다. 국가보훈부 관계자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방중 기간 공개 언급한 정율성이 당시 국가유공자 서훈을 받지 못한 것도 그가 전쟁 때 우리를 침략한 북·중공군의 핵심 인사였던 데다 점령군으로서 문화재 약탈 행위까지 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왼쪽 부터 ①정율성이 잠시 다녔다는 전남 화순군 능주초등학교에 있는 정율성 대형 모자이크화. ②광주광역시 양림동 ‘정율성로(路)’ 입구에 있는 정율성 동상. ③광주광역시 동구 불로동에 있는 정율성의 생가. 올 연말까지 이 일대에 ‘정율성 역사 공원’이 조성된다. /박희석 월간조선 기자 · 김영근 기자

이런 가운데 호남대안포럼과 전국학생수호연합 광주지부는 이날 광주 정율성로(路)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 국민을 학살한 북한군 응원대장 정율성을 기념하는 공원 조성을 결사 반대한다”면서 “서재필 박사 등 수많은 호남 출신 국가유공자를 두고 굳이 침략자를 기념하는 것은 호국 영령에 대한 조롱”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5·18 때 광주시민은 ‘북괴는 오판 말라’며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했다”면서 “그런데 강기정 시장은 북괴의 부역자를 기념하려 한다”고 했다. 2010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전사한 고 서정우 하사의 어머니와 전몰군경유족회 등도 28일 광주 현충탑에서 정율성 사업 철회를 집회를 열 계획이다.

27일 오후 전국학생수호연합 광주광역시지부 학생들이 광주 남구 ‘정율성 거리’에 있는 전시관 길거리 방명록에 ‘광주의 역사를 더럽히지 말라’는 등의 글을 적고 있다. 이들은 이날 정율성 거리에서 광주시의 정율성 기념 공원 조성 사업을 규탄하는 시위를 열었다. /김영근 기자

정부도 이번 사업과 관련한 법률 실무 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관계자는 ‘정율성 역사 공원’ 조성 사업은 “국가의 근간을 흔드는 반헌법적 행태”라면서 “이를 막기 위한 방안을 종합 검토 중에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