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전당대회 돈 봉투 살포’ 사건으로 구속 기소된 윤관석 의원이 18일 법정에서 그동안의 결백 주장을 뒤집고, 혐의를 액수만 줄여 인정했다. 윤 의원은 2021년 4월 말 당시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이던 송영길 전 대표의 당선을 위해 경선 캠프 관계자들에게 돈 봉투 20개를 요구해 받은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윤 의원의 혐의 시인을 계기로, 그간 민주당 인사들이 윤 의원 등에 대한 체포동의안을 부결하는 과정에서 사건을 ‘검찰의 조작’이라며 강력 부인했던 발언들이 재조명되고 있다.
김은경 전 민주당 혁신위원장은 지난 6월 언론 인터뷰에서 돈봉투 사건에 연루된 윤관석·이성만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에 대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지만 (불체포특권이) 헌법상의 권리인 것은 맞다”면서 “돈봉투 사건이 (검찰에 의해) 만들어졌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자료를 보고 판단하겠다”고 했다.
이재명 대표는 지난 4월 13일 검찰이 윤관석 의원과 관련자들의 주거지,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한 다음날 “객관적 진실을 왜곡·조작하는 검찰의 행태가 일상이기 때문에 (돈 봉투 의혹이) 잘 믿어지지 않는다”고 했다. 이 대표는 그로부터 나흘 뒤 돈봉투 사건에 대해 사과했다. 사과 내용은 “이번 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서 당 대표로서 깊이 사과드린다”며 “당은 정확한 사실 규명과 빠른 사태 수습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것이었다.
권칠승 민주당 수석대변인도 “국면 전환용 기획 수사일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했다.
윤건영 민주당 의원도 지난 4월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당대회에서 그럴 리는 없을 것 같다”며 “돈 봉투가 돌아다니고 지금 세상이 어느 때인데”라고 했다.
박지원 전 국정원장은 같은 달 라디오 인터뷰에서 “녹음 내용을 보면 합리적 의심은 든다”면서도 “그렇지만 송영길 전 대표가 결코 돈 가지고 정치하는 사람이 아니다”라고 했다.
김회재 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30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게 “(돈봉투 사건) 증거가 있느냐. 없으면 수사를 종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6월 12일 윤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을 부결시켰었다.
지난달, 윤 의원이 구속됐지만, 체포동의안 부결에 대한 사과는 없었다.
한편 윤관석 의원 측은 그간 검찰 조사 과정에서 혐의를 전면 부인했는데 재판을 시작하면서 입장을 바꿨다. 다만 윤 의원은 봉투당 300만원씩 6000만원을 받았다는 기소 내용과는 달리 봉투당 100만원씩 2000만원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2000만원을 받았다고 주장했지만, 송영길 전 대표 보좌관 출신 박용수씨 변호인이 최근 법정에서 “윤 의원에게 6000만원을 전달했다”고 밝힌 것과 안 맞는다. 검찰은 윤 의원이 당시 민주당 의원 19명에게 봉투에 300만원씩 담아 건넸다고 보고 수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