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뉴스1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재명 현 민주당 대표가 총선을 지휘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것은 상식에 속하는 문제”라며 사실상 대표직 사퇴에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낙연 전 대표는 4일 연합뉴스TV와의 인터뷰에서 ‘사법 리스크가 있는 이재명 대표가 총선 전에 대표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제가 그 이야기를 한다고 해도 의미가 없고, 그러고 싶지도 않다”면서 “이 상태로 좋은지, 아닌지 당이 알아서 판단하고 그 결과도 당이 알아서 감당해야 할 것”이라고 즉답을 피했다.

그러나 이낙연 전 대표는 진행자가 재차 ‘사법 리스크를 안고 이재명 대표가 총선을 지휘하는 것이 가능하겠냐’고 묻자 “그것은 상식에 속하는 문제”라며 “그것 또한 총선을 치르게 될 당, 후보들이 어떤 것이 승리의 길인가 잘 판단하고 그 결과를 감내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낙연 전 대표는 자신을 중심으로 한 신당 창당설과 관련해서는 “지금 대한민국의 핵심적 위기는 정치 양극화 때문이다. 이를 저지하기 위한 제3세력 결집 취지에 공감한다”며 “단지 제가 어떤 역할을 할 것이냐는, 제 인생을 걸고 고민해야 하는 문제다. 너무 길게 끌면 안 되니 생각이 정리되는 대로 말씀 드리겠다”고 했다.

이낙연 전 대표는 또 “제3세력이라는 것은 양당 모두 싫다는 사람들에게 선택지를 제시하자는 것”이라며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 두 분 중 한 분만 고르라는 시험문제가 작년 대선부터 계속돼 오고 있다”고 했다.

이낙연 전 대표는 “그간 민주당에 대해서는 극도로 발언을 자제했으나 그것도 도리가 아닌 것 같다고 판단했다”며 “내부 위기의식에도 (당이) 달라지지 않아 나의 기다림도 이제 바닥이 나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민주당은 내부 다양성과 당내 민주주의라는 두 가지 면역 체계가 무너졌다”며 “누구든 할 말을 하고 그것 때문에 불이익을 당하지 않게 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했다.

‘민주당이 내년 총선에서 승리하려면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왜 윤석열 정부의 실정에 따른 반사이익을 못 얻는지, 그 원인을 민주당도 아는데 아무것도 못 하고 있다”며 “달걀은 안에서 깨면 병아리가 되지만 밖에서 깨면 프라이가 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