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법무장관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하기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뉴스1

21일 한동훈 법무장관이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직을 수락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진중권 광운대 교수는 “이분이 이순신이 될 수도 있고 원균이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진 교수는 전날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서 “(한 장관이) 어떤 길을 걷느냐는 대통령과의 관계 속에 나오는 거고, 결국 윤석열 대통령이 무능한 군주인 선조에 비유가 된다”며 이렇게 말했다.

진 교수는 “이순신은 ‘싸울 때가 아니다’라고 출동을 거부해 그것 때문에 백의종군까지 하게 됐는데, 원균은 그 말 듣고 나갔다가 칠천량 해전에서 다 깨졌다”며 “윤 대통령과 부딪힐 수 있는데 거기서 얼마나 자기 색깔을 낼 수 있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진 교수는 그러면서 “문제는 (용산에서) 이순신의 길을 가도록 허용해 줄 것인가”라며 “강성 지지층도 있고 당내에 꽉꽉 막힌 그 사람들 있지 않나. 그 사람들이 과연 그 길을 허용해 줄까”라고 했다.

진 교수는 한 장관이 정치인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첫번째는) 중도 확장. 대국민 메시지를 바꿔야 한다. 두 번째는 김건희 리스크를 해소하는 부분이 있겠고, 세 번째가 이준석 문제 해결하는 것”이라며 “하나 덧붙이자면 검사 공천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상임고문단은 전날 당 지도부와 오찬에서 한 장관을 비상대책위원장에 선임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유흥수 전 의원은 “‘당이 지금 이순신 장군 상황처럼 배가 열두 척만 남은 상황인데 한 장관을 아낄 게 뭐 있느냐’는 의견이 많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