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와 비서실장에 각각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이 유력 검토되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여당 내에서도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곧바로 대통령실에서 “검토된 바 없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후폭풍은 계속되고 있다. 박 전 장관은 고 김대중 전 대통령에 의해 정계에 입문한 뒤 4선 의원과 문재인정부에서 장관을 지냈고, 양 전 원장은 전해철 의원, 이호철 전 청와대 정무수석과 함께 ‘3철’로 불린 문 전 대통령 최측근 인사로 평가받는다.
권성동 의원은 17일 SNS에 “당의 정체성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인사는 내정은 물론이고 검토조차 해서는 안된다”며 “다행히 대통령실에서 검토한 적이 없다는 공식 입장이 나왔다. 그러나 오늘과 같은 해프닝은 메시지 관리의 부실함을 드러낸 것이라 상당히 아쉽다”고 했다. 이어 “협치란 자신의 정체성과 기조를 유지하면서 상대와 타협하는 것이지, 자신을 부정하면서 상대에게 맞춰주는 것이 아니다”며 “어려운 시기일수록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고 했다.
김용태(경기 포천·가평) 당선자도 “당혹스럽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이날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관련 질문을 받자 “아이디어 차원에서 누군가 상상을 흘렸을 가능성이 큰 게 아닌가 싶다”며 “만약 현실화한다면 지지층 사이에서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 같다. 훌륭하고 안 하고를 떠나서 야권 인사이기에 보수층이 받아들이기가 감정적으로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고 했다.
반면 안철수 의원은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무난하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그는 “다들 좋은 분들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또 김대중 대통령께서 IMF를 극복하기 위해서 보수 진영에 있던 분을 비서실장으로 모셔왔지 않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러면서 여야가 서로서로 상생하고 화합하는 그런 협력관계로 IMF를 극복했으니까 지금 사실 어떻게 보면 IMF만큼 큰 위기가 지금 우리 앞에 닥쳐오고 있다”고 했다. TK(대구·경북) 출신인 김중권 DJ정부 초대 비서실장을 거론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