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9일 첫 양자 회담에서 의대 증원 등 의료 개혁 필요성에 공감했다. 윤 대통령과 이 대표는 앞으로도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만남을 이어가기로 했다. 두 사람은 이날 당초 계획했던 1시간을 넘겨 130분간 회담을 진행했다.
이 대표는 회담에서 “의료 개혁은 정말로 중요한 국가적 과제”라며 “의정 갈등이 계속 심화하고 있어서 꼬인 매듭을 서둘러 풀어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이 대표는 “의대 정원 확대 같은 의료 개혁은 반드시 해야 할 주요 과제이기 때문에 민주당도 적극 협력하겠다”고 했다. 대통령실 이도운 홍보수석도 브리핑에서 “의료 개혁이 필요하고, 의대 정원 증원이 불가피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이 수석은 또 “윤 대통령과 이 대표는 앞으로도 종종 만나기로 했다”며 “두 분이 만날 수도 있고 여당 지도 체제가 들어서면 3자 회동도 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윤 대통령은 “민생 협의를 위한 여야정 협의체 등의 기구가 필요할 수 있다”고 제안했고, 이 대표는 “국회라는 공간을 우선 활용하자”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는 “소통의 첫 장을 열었다는 데 의미를 두어야겠다”고 말했다고 박성준 수석대변인이 전했다. 박 대변인은 “큰 기대를 했지만 대통령의 변화를 찾아볼 수 없었다”며 “상황 인식이 너무 안이해 향후 국정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회담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720일 만에 용산 대통령실에서 차담 형식으로 이뤄졌다. 양측은 별도 합의문을 내지는 않았고, 의료 개혁 등을 제외한 주요 현안들에 대해선 이견을 보였다. 이 대표는 윤 대통령이 그간 거부권을 행사한 법안들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야당이 추진하는 ‘채 상병 특검법’ 등을 수용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이도운 수석은 이날 방송에 출연, ‘윤석열 대통령이 다음 달 취임 2주년을 맞아 기자회견을 계획하냐’는 질문에 “한다고 봐도 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