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중국 리창 총리, 일본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잇따라 양자 회담을 하고 동북아 경제·안보 현안을 논의했다. 4년 5개월 만에 재개된 한·중·일 정상회의를 하루 앞두고 3국 정상이 별도 양자 회담을 통해 관계 회복의 계기 마련에 나선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리창 총리와 회담을 하고 고위급 한·중 외교·안보 대화를 신설하기로 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회담 후 브리핑에서 “양국 외교부와 국방부가 참여하는 ‘2+2′ 대화 협의체를 만들어 6월 중순 첫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중 외교·안보 대화는 중국 측이 먼저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전방위 압박을 받는 중국이 한국과의 대화를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과 리 총리는 또 2015년 12월 발효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2단계 협상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그간 추진된 상품 교역 분야 시장 개방을 넘어 서비스, 특히 문화·관광·법률 분야에 이르기까지 교류와 개방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하기로 한 것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경제 교류는 한·중 간에 가장 관심이 큰 분야”라며 “FTA 협상 재개 자체가 의미가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 회담을 하고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 등 양국 관계 심화 방안을 논의했다.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은 양국 재계가 미래 세대 지원을 위해 작년 6월 한국 10억원, 일본 1억엔을 출연, 출범시켰다. 그런데 이번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본 측이 2억엔(약 17억4000만원)을 선제적으로 추가 모금했고, 한국 재계도 이에 발맞춰 기금 확충에 나설 것”이라고 김태효 차장은 밝혔다.
이날 회담에서 윤 대통령은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해 “(일본 정부의 입장이) 네이버에 지분을 매각하라는 요구는 아닌 것으로 이해하며, 한일 외교 관계와 별개의 사안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 이에 기시다 총리는 “이번 행정지도는 이미 발생한 중대한 보안 유출 사건에 대해 어디까지나 보안 거버넌스를 재검토해 보라는 요구”라고 했다. 일본 총무성이 작년 라인야후의 개인 정보 유출 건을 계기로 최근 네이버에 행정지도를 내린 것이 지분 매각을 요구한 건 아니라는 취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