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4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해제 추가 담화 발표에 대한 입장을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4일 비상계엄 해제를 선언한 후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실패한 쿠데타”라고 비판했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해제 의사를 밝힌 직후 기자들과 만나 “계엄을 해제한다고 해도 내란죄를 피할 수 없다”며 “윤 대통령은 더 이상 정상적인 국정 운영을 할 수 없음이 온 국민 앞에 명백히 드러났다. 즉시 하야하라”고 말했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이번 비상계엄은 윤 대통령 친위 세력이 일으킨 쿠데타이자 실패한 쿠데타에 불과하다”고 했다. 조 대표는 윤 대통령과 김용현 국방장관 등을 향해 “모두가 대한민국의 수치이자 민주주의의 적”이라며 “이들 모두 법의 심판대에 올려야 한다”고 했다. 나아가 “더 두고 볼 수가 없다. 탄핵해야 한다”며 “윤 대통령을 내란죄와 군사반란죄 현행범으로 체포해야 한다”고 했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이 4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해제 대국민담화 관련 입장 발표를 하고 있다. /뉴스1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추진하는 범야권 의원들이 모인 ‘탄핵연대’는 성명서를 통해 “윤 대통령이 스스로 탄핵의 문을 열었다”며 “탄핵(소추안) 발의를 추진하려고 한다”고 했다. 탄핵연대에는 더불어민주당 27명, 조국혁신당 9명, 진보당 3명, 사회민주당 1명, 기본소득당 1명 등 야당 의원 41명이 포함돼 있다. 탄핵소추안 발의는 국회의원 150명 이상이 참여해야 하므로 다른 의원들이 동참해야 가능하다.

윤 대통령은 전날 밤 긴급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이에 국회는 즉시 본회의를 열고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상정해 가결시켰다. 결의안은 재석 190인 중 찬성 190인으로 처리됐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4시 20분쯤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가 있어 투입된 군을 철수시켰다”며 계엄을 해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후 국무총리실은 “4시 30분에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서 계엄 해제안이 의결됐음을 알려드린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