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한덕수 국무총리가 8일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대국민 공동 담화를 하고 있다. /이덕훈 기자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8일 “조기 퇴진이 국민과 대한민국을 위한 최선의 방안”이라며 “탄핵의 경우는 (국회에서) 가결되더라도 헌법재판소에서 어떤 결정이 나올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당한 기간 진행된다. 그 과정에서 극심한 진영의 혼란이 예상된다”고 했다.

한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 과정(탄핵이 국회 가결·헌재 결정되는 과정)에서 불확실성이 있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헌재 결정에 따라 시점과 결과가 불확실한 탄핵보다는, 일정 시점을 지정하고 그때에 맞춰 조기 퇴진하는 것이 국정 혼란을 줄일 수 있다는 취지다.

한 대표는 조기퇴진 시점에 대해선 “저희가 오늘도 내일도 그렇고 여러 의견 들어보려 한다”고 했다.

8일 오전 대전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한덕수 국무총리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대국민 공동 담화를 시청하고 있다. /신현종 기자

한 대표는 ‘여당 대표와 국무총리가 함께 국정을 운영한다는 것은 위법’이라는 지적에는 “당 대표가 국정 권한을 행사할 수 없다”며 “총리가 국정운영을 직접 챙기고, 당정의 긴밀한 협의는 당연히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비상시국에서 당이 보다 적극적이고 세심하게 총리와 협의하겠다는 것”이라며 “당 대표가 국정을 권한으로 행사할 수 없다”고 했다.

또 한 대표는 “박근혜 전 대통령 당시 국정농단 상황에서 우원식 현 국회의장을 비롯한 민주당 (의원들이) ‘대통령이 국정에서 손을 떼고 총리에게 전권을 맡겨라’라고 말했다. 그때 그 솔루션(해법)을 나도 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당시 박 전 대통령이 그 요구를 안 받아들였지만, 이번엔 대통령이 수용해서 그 조치를 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사의를 수리하는 등 임면권을 행사한 데 대해서는 “사퇴는 적극적 직무행사라 보기 어렵지 않겠느냐”며 “앞으로 사퇴하는 일들은 있을 거 아니냐. 사퇴 경우 수동적으로 처리하는 일은 있을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