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9일 윤석열 대통령 퇴진의 구체적인 시기와 방법 등 ‘퇴진 로드맵’을 놓고 하루종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와 비상의원총회, 중진 회동을 잇달아 진행했지만 구체적인 결론을 내지 못했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비상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연합뉴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오는 14일로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본회의 2차 표결을 앞두고 “탄핵안 통과를 과연 언제까지 막을 수 있겠나”라는 의문이 커지고 있지만, 한동훈 대표가 탄핵에 대한 대응 격으로 내놓은 ‘질서있는 퇴진’ 방안은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못했다. 국민의힘은 5시간여에 걸친 의총 뒤 정국 안정과 법령 검토 등을 담당하는 의원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로 했지만 “윤 대통령이 출국 금지되는 등 정국이 실시간으로 요동치는데 당은 너무나 한가한 대응을 하고 있다”는 비판도내부에서 제기됐다.

초선 김용태 의원은 이날 의총에서 “여야 합의로 윤 대통령에 대한 ‘계엄 상설특검’을 처리해서 수사하자”며 “이후 수사 결과에 따라 탄핵이든 다른 방법이든 당의 방향을 정할 수 있지 않겠나”라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경태 의원은 중진회의에서 “윤 대통령이 한 달 안에 퇴진해야 한다”며 “우리가 내란 동조자로 몰릴지, 먼저 결단해서 당을 살릴지 판단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의총에서는 윤 대통령의 하야를 당론으로 정하자는 주장도 나온 것으로 파악됐다.

의총에선 국민의힘의 이런 상황에 대해 “탄핵 방어엔 갈수록 명분도 모자라 한계가 있으니, 다음 표결에선 집단 퇴장이 아니라 적어도 표결엔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거 분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이 매주 토요일마다 탄핵 표결을 실시하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탄핵안 통과를 한두번은 막더라도 그 이상은 무리라는 주장이다. 여당이 표결 자체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자신감 부족으로 읽힌다는 질타도 이어졌다.

지난 7일 탄핵안 표결에는 야당 의원 192명과 안철수·김예지·김상욱 의원이 참석했다. 이중 김상욱 의원은 당론에 따라 반대표를 던졌지만, 향후 정국에 변동이 없으면 소신 투표를 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한편 한동훈 대표는 국민의힘 상황에 대해 말을 아꼈다. 한 대표는 이날 국회 의총장에 들어가며 윤 대통령 퇴진 시점과 하야 필요성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별다른 답을 하지 않았다. 여당 관계자는 “한 대표는 의총에서 ‘여러 의견을 많이 내달라’고 했고, 주로 듣는 입장이었다”며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 숙고에 들어갈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