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러시아 쿠르스크 전선에 파병된 북한군 사상자가 300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13일 밝혔다. 이와 관련, 고위 정보 소식통은 “북한이 러시아에 추가 파병을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전에 투입된 북한군 피해 규모가 사망 300여 명, 부상 2700여 명으로 사상자 수가 3000여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고 보고했다고 정보위 국민의힘 간사인 이성권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박선원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또 최근 입수한 북한군 전투 영상을 분석한 결과 “원거리 드론 조준 사격 및 후방 화력 지원 없는 돌격 전술 등 현대전에 대한 이해 부족과 러시아 측의 북한군 활용 방식이 결과적으로 대규모 사상자 발생의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국정원이 공개한 러시아 파병 북한군 규모가 약 1만2000명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이미 30% 가까운 병력이 전선에서 이탈한 것이다.
국정원은 쿠르스크 전선에서 희생된 북한군 장병이 갖고 있던 수첩에서 북한 당국이 생포되기 전 자폭 자결을 강요하는 내용이 발견됐고, 장병이 노동당 입당이나 군 생활 동안 저지른 잘못에 대한 사면을 기대하는 내용도 수첩에서 발견됐다고 보고했다. 최근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될 위기에 처한 북한군 장병 1명은 “김정은 장군”을 외치며 수류탄을 꺼내 자폭을 시도하다가 사살된 사례도 있었다고 국정원은 전했다.
국정원은 최근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포로 2명은 대외·대남 공작을 담당하는 ‘정찰총국’ 소속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포로 신문에서 북한 당국이 파병 수당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 없이 ‘영웅으로 대우한다’고만 말했다고 한다. 국정원은 해당 포로들이 한국 귀순 의사를 밝히면 우크라이나와 한국행을 적극 협의하겠다고 했다고 이성권 의원은 전했다.
국정원은 북한 당국의 엄격한 정보 통제에도 러시아 파병 관련 소식이 북한 내부에 퍼지고 있다고 전했다. 파병 장병의 가족들은 아들이 ‘노예병’이나 ‘대포밥’이 될지도 모른다는 걱정을 토로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없는 주민들은 러시아의 지원을 통한 생활 개선을 기대하는 등 내부적으로 엇갈린 반응이 관찰되고 있다고 국정원은 보고했다. 국정원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올 상반기 러시아 방문을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