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오른쪽)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30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권 원내대표 왼쪽은 원내대표 비서실장인 최은석 국민의힘 의원. /남강호 기자

설 연휴를 전후로 발표된 여론조사에서 중도·무당층은 차기 대선 때 ‘정권 재창출’보다 ‘정권 교체’를 원하는 성향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층 결집으로 여당 지지율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정치권과 전문가들 사이에선 “마지막으로 갈수록 결국 중도·무당층이 선거 승패를 좌우하기 때문에 지금 여권은 당 지지율 상승에 취해 있을 때가 아니다”라는 지적이 나온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본인의 이념 성향을 ‘중도’라고 밝힌 비율은 35% 안팎이다.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4∼26일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에게 힘을 실어야 한다’는 50%, ‘정권 재창출을 위해 여당 후보에게 힘을 실어야 한다’가 39%로 11%p 차이였다. 하지만 자신을 중도라고 답한 응답자에서는 ‘정권 교체’가 57%, ‘정권 재창출’이 29%로 격차가 28%p까지 벌어졌다.

다른 조사에서도 이런 경향은 일관되게 나타났다. MBC·코리아리서치의 지난 27∼28일 조사에서 ‘정권 교체를 위해 야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50%, ‘정권 재창출을 위해 여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44%였다. 같은 회사가 한 달 전 실시한 조사보다 ‘정권 교체’는 5%p 감소하고 ‘정권 재창출’이 12%p 증가했다. 하지만 중도층으로 한정하면 ‘정권 교체’가 59%, ‘정권 재창출’이 33%로 한 달 전(25%p)과 유사한 26%p 격차가 유지됐다.

그래픽=김성규

설 연휴 직전인 21~22일 조선일보·케이스탯리서치 조사에서도 차기 대선과 관련해 ‘정권 재창출’이 45%, ‘정권 교체’가 44%로 박빙이었지만, 중도층에서는 ‘정권 교체’(50%)가 ‘정권 재창출’(34%)을 앞섰다. SBS·입소스(23∼25일) 조사에서도 정권 교체 찬반 격차는 전체에서 7%p였지만, 중도층으로 한정했을 경우엔 격차가 19%p로 벌어졌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설 연휴 인사를 다녀보니 ’여당이 중심 잡고 잘하고 있다’고 말하는 유권자가 없더라”며 “당 지지율이 회복됐다고 하지만 바닥 경기가 안 좋다 보니 정권 교체 여론도 상당하다”고 했다.

정치 평론가 최수영씨는 “조기 대선 분위기 속에 양당 지지층은 이미 결집할 대로 결집한 상황”이라며 “남은 것은 중도·무당층인데 이들은 계엄에 비판적이고 대통령 탄핵을 찬성하고 있어 계엄, 탄핵과 선을 긋지 못하는 여당에 부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조선일보·케이스탯리서치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해 중도층 응답자의 65%, 무당층의 52%가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을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중도층은 또 ‘민주당이 정부·여당의 발목 잡기 한다’는 의견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55%)가 ‘동의한다’(42%)보다 많았다(MBC·코리아리서치).

여권 관계자는 “차기 대선은 계엄과 탄핵의 그늘 아래 실시된다는 점에서 여론조사에 소극적이지만 투표장에 나가는 중도·무당층 유권자는 야당 후보에게 투표할 가능성이 크다”며 “여당이 쇄신할 시점에서 최근 지지율 상승은 달콤한 독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이 때문에 여당 내에서도 야당과 차별화되는 민생 정책과 미래지향적 메시지를 내고 중도층으로 외연을 확장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