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투입됐던 김현태(대령) 육군 특수전사령부 707 특수임무단장이 17일 국회에 출석해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는 없었고,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검찰에 낸 자수서에도 관련 언급은 없었다”고 밝혔다.
김 단장은 최근 성일종 국회 국방위원장을 만나 작년 12월 5일과 10일 민주당 의원들이 곽 전 사령관 등을 회유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김 단장은 이날 국회 국방위 현안 질의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곽 전 사령관 자수서 내용을 봤다면서 “‘아직 국회 의결정족수가 안 채워진 것 같다’ ‘의사당 안에 있는 사람들을 빨리 데리고 나와라’고 적혀 있었고, ‘국회의원’이나 ‘본회의장’ ‘끌어내라’ 같은 단어는 없었다”고 했다.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계엄 당시 비화폰으로 “문을 부수고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하지만 자수서에는 그런 표현은 없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곽 전 사령관은 지난 6일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 심판 변론에 출석해 “‘대통령이 국군통수권자인데 차마 그런 말을 쓸 수 없어 용어를 순화해서 썼다”라며 “‘부수고’를 ‘열고’라고, ‘끌어내라’는 걸 ‘데리고 나와라’로 순화해서 쓴 것이지 (진술을) 바꾼 게 아니다”라고 했다.
김 단장은 ‘박범계 민주당 의원이 (12월 10일) 곽 전 사령관을 어떻게 회유했느냐’는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 질의에 “국회 출석 당시 곽 전 사령관을 위해 알고 지내던 민주당 보좌관을 통해 휴식용 방 하나만 알아봐 달라고 했는데, 갑자기 민주당 관계자들이 들어와 ‘대세가 기울었다’ ‘민주당이 지켜주겠다’ 등의 말을 했다”며 “부승찬 민주당 의원은 ‘잘 아는 변호사를 붙여주겠다’고 했지만 이후에 안 붙여준 것으로 안다”고 했다.
김 단장은 계엄군이 국회 단전(斷電)을 시도했다는 주장과 관련해 “대통령 지시는 일절 없었다”고 했다. 곽 전 사령관도 지난 6일 헌재에 증인으로 출석해 “국회 단전은 내 생각”이라고 답변했다.
김 단장은 계엄 당일 국회 본관 내부에 침투했을 때 안에 있던 사람들이 소화기를 터뜨리며 저항한 것과 관련해 “마치 저희를 이용해 폭동을 일으키려는 느낌을 받았다”고 했다. 김 단장은 “당시 (국회 본관 안에서) 몸싸움 이후에 민주당 보좌관으로 생각되는 인원이 저에게 와서 자랑하듯이 얘기한 것이 있다. (상황 종료 후) 부대에 복귀해 상황을 되짚어보며 부대원들이 폭행과 욕설을 잘 참아줘서 고맙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날 현안 질의가 합의되지 않은 의사일정이라며 불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