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의 윤상현(오른쪽) 의원과 강승규 의원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각하를 주장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은 이날부터 헌재 앞에서 24시간씩 릴레이 밤샘 시위를 시작했다./뉴스1

더불어민주당 등 야(野) 5당이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석방된 것에 반발해 장외 농성에 나섰지만, 국민의힘 지도부는 11일 당 차원의 맞대응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 후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이 국회의 본령인 민생과 경제를 내팽개치고 오로지 장외 정치 투쟁에 몰두하는 데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이냐에 대해서 의총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면서 “당 지도부는 지금과 같은 기조를 유지하기로 결론을 내렸고 의원들께서 양해해 줬다”고 말했다. 야당이 벌이는 장외 집회나 단식·삭발 등 헌법재판소를 겨냥한 실력 행사로 비칠 법한 행동은 삼가겠다는 것이다. 권 원내대표는 의총에선 “첫째도 안정, 둘째도 안정이다. 헌재 판결 전후의 국정 안정과 혼란 수습에 대비해 나가겠다”고 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국민의힘 지도부의 이런 입장과는 별개로 윤상현·박대출·강승규 등 국민의힘 일부 의원은 이날부터 서울 종로구 안국동 헌재 앞에서 윤 대통령 탄핵안 각하를 촉구하는 ‘릴레이 시위’에 나섰다. 이날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도 일부 친윤계 의원은 “헌재를 향해 탄핵 인용을 압박하는 민주당에 맞서 우리도 당 차원에서 장외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윤상현 의원은 “우리는 야당보다 더 처절하고 절실하게 전투적으로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통령 파면이냐 직무 복귀냐가 달린 헌재 결정을 앞두고 여당도 여론전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권 원내대표는 “장외 투쟁을 하거나 현장 방문 시위를 하는 것은 의원 각자의 소신에 따라서 하는 것”이라면서 “지도부가 관여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이 석방된 이튿날인 지난 9일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찾아 윤 대통령을 만났다. 그런 권 원내대표는 이날 대통령과 식사 계획이 있느냐는 기자들 물음에 “지금으로서는 전혀 계획이 없다”고 했다.

국민의힘 지도부의 이런 태도는 만에 하나 대통령 탄핵안이 인용돼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에 대비한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중도층 표심 등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얘기다. 다만 국민의힘 지도부가 윤 대통령 측과의 교감 아래 장외 거리 투쟁과 거리를 두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윤 대통령 측도 대통령 석방 이후 헌재 심리 동향과 여론 추이를 면밀히 살피면서도 정치적으로 해석될 법한 발언은 자제하는 분위기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은 관저에서 독서나 산책을 주로 하면서 몸을 추스르는 데 집중하는 것으로 안다”며 “당분간은 별도의 입장 발표 없이 차분하게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