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악(대법관)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 9일 6·3 조기 대선 투·개표와 관련해 “수검표와 사전 투표 보관 장소 CCTV(방범 카메라) 24시간 공개를 통해 선거 절차의 투명성과 정확성을 더욱 담보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기 대선 때도 부정선거 논란이 불거지지 않도록 투·개표 시스템 관리를 투명하게 하겠다는 것이다. 기계(계수기)로 센 투표지를 사람 손으로 한 번 더 일일이 검산하는 수검표와 사전 투표함 보관소 방범 카메라 영상 공개는 선거 부정 방지 차원에서 작년 4월 총선 때부터 도입됐다.
노 위원장은 이날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발표하고 “선거가 끝난 다음 관련 소송이 제기돼 적법 절차에 따른 서버 검증 요구가 있거나, 국회 차원에서 선거 절차에 대한 검증 요구가 있다면 적극 협조하겠다”며 “이는 부정선거 의혹을 완전히 불식시킬 수 있는 또 하나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노 위원장은 언론인을 대상으로 투·개표 절차 관련 시연회를 열고 선거 관련 학회가 자율적으로 구성한 공정선거참관단도 운영하겠다고 했다.
노 위원장은 “계엄 이후 4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우리나라는 진영 간의 극심한 갈등이 ‘부정선거’ 주장과 맞물려 큰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고 했다. 그는 “아직도 부정선거 논란은 좀처럼 잦아들고 있지 않다”며 “수많은 부정선거 소송이 대법원에서 근거 없다고 밝혀졌음에도 계속되는 이런 주장에 안타까운 심정”이라고 했다. 노 위원장은 다만 “3000여 명의 선관위 직원 외에 공무원·일반 국민 등 30만명이 넘는 외부 인력이 투·개표 사무원으로 참여하고, 정당과 각 후보자가 추천한 10만명이 넘는 투·개표 참관인이 투·개표 절차를 지켜보고 있다”며 “수많은 외부 인력이 투·개표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사소한 실수나 착오가 발생할 수 있지만, 그것이 부정선거로 이어질 수는 없다”고 했다.
노 위원장은 “우리나라는 매우 심각한 정치적·사회적 갈등과 혼란을 겪고 있지만, 그럼에도 선거 결과에 승복하는 것은 민주주의 국가에서 가장 기본적인 약속”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정당·후보자뿐만 아니라 국민 여러분께서도 선거 결과를 존중하고 승복해 주시기를 다시 한번 당부드린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