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대통령 선거일이 6월 3일로 확정되자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소속 현직 광역자치단체장들이 줄줄이 대선 경선 출마 선언에 나서고 있다. 당내 경선에는 공직에서 물러나지 않아도 참여가 가능하지만, 경선 기간 동안 시정(市政)·도정(道政) 공백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민의힘 소속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는 13일 대선 출마를 선언할 예정이다. 오 시장은 시장직을 유지한 상태로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참여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신 김병민 정무부시장, 이종현 민생소통특보 등 서울시 정무직 인사 4명이 사임서를 내고 오 시장 경선 캠프에 들어갔다. 유정복 인천시장과 이철우 경북지사는 이날 각각 인천 자유공원 맥아더 동상 앞, 경북 구미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에서 출사표를 던졌다.
또 다른 현직 광역단체장인 김태흠 충남지사, 이장우 대전시장 등도 당내 경선 출마를 검토 중이다. 민주당에서도 김동연 경기지사가 이날 미국 출장차 방문한 인천공항에서 출마 선언을 했다. 이들은 직을 내려놓지 않고 개인 휴가 등을 이용해 각 당의 경선 과정에 참여한다는 입장이다.
현행 공직선거법상 대선에 출마할 현직 광역자치단체장은 선거일 30일 전에 사퇴해야 한다. 이번 대선 본투표일 기준으론 5월 4일까지다. 다만, 당내 경선 과정에는 해당 선거법 조항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현직 광역단체장들의 대선 경선 출마 선언이 봇물 터지듯 이어져도 이를 법적으론 막을 수 없다는 것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현직 시장이나 도지사가 경선 일정에 집중하다 보면 자연스레 시정·도정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져 지역 주민의 삶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현직 광역단체장 중에서 공직 사퇴 의사를 밝힌 사람은 홍준표 대구시장 등이 있다. 홍 시장은 오는 11일 시장직에서 퇴임한 뒤 14일 서울 여의도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할 계획이다. 홍 시장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나는 경선을 보고 뛰는 게 아니라 본선을 보고 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