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6·3 대선 후보 경선 때 권리당원 표 반영 비율을 확대할 방침을 세웠다. 친명계 요구를 사실상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이에 완전국민경선(당원과 비당원 국민 모두에게 1인 1표를 보장) 도입을 주장해온 비명계 후보들은 경선 불참까지 고려할 수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는 이날 경선 규칙을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변경하기로 잠정 결론내렸다. 국민선거인단을 모집해 경선을 치른 18대·19대 대선보다 권리당원 비중이 커진 것이다. 권리당원에는 이 전 대표 지지자가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민주당은 12일 최종 의결과 당 최고위원회, 전 당원 투표 등을 거쳐 내주 초쯤 경선 방식을 확정한다.
이와 관련,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대선특별당규위 논의가 심각히 우려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했다. 김 지사 측 관계자는 “국민 선거인단의 취지와 원칙을 무시했을 때 경선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캠프 내부의 많은 사람이 격앙돼 있다”면서 “앞으로 (불출마를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경선 출마를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 측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경선 룰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후보자 의견을 한 번도 묻지 않고 룰미팅을 한 번도 갖지 않았다”라고 했다.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가 후보자들 의견 수렴을 제대로 하지 않고 이재명 전 대표에게 유리한 쪽으로 방향을 몰아갔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김 전 의원 측은 “경선의 당사자인 후보들의 의견을 포용하지 못하는 민주당 친이(친이재명) 지도부가 어떻게 중도층과 국민을 포용할 수 있겠느냐”면서 “지도부가 후보자들의 의견을 일절 듣지 않고 계속 불통한다면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 추대 경선’의 들러리로 나서는 것에 대해 깊이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반면 이재명 전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경선 룰과 관련해 “제가 선수인데 심판의 규칙에 대해 뭐라고 말하겠나”라며 “국민과 당원의 뜻에 따른 어떤 결정도 다 수용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