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신도시 구미동 대단위
아파트단지를 가로지르는
고압선을 둘러싸고 당국과
주민들이 대립중이다. 문제의
고압선은 용인수지 도로변에서
구미동 불곡산 입구를 연결하는
3.5㎞구간으로, 분당신도시가
건설되기 전부터 시범단지
부지에 있던 것을
의 요청을 받고
지난 93년 6월 이
현위치로 옮긴 것 .
주민들은 고압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때문에 머리와 다리가
아프고 TV, 휴대폰, 무선전화기의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는 등
피해를 입고 있다며 과
한전을 상대로 즉각 철거 또는
이설을 요구하고 있다. 주민들은
작년 10,12월에 고압선 철거를
요구하는 항의집회를 가졌고,
3월에 공청회를 열고 통상산업부
청사앞에서 항의시위를 벌일
계획이다.
■전이만(전이만) 분당 특고압선
철거대책위원회 위원장=약
1만1천가구 3만3천명에 달하는
구미동 주민들은 아파트를
분양받을 당시, 에 있는
모델하우스만 보고 계약해서
고압선에 대해 몰랐다. 그때
고압선이 있음을 알았다면 누가
34만5천V의 초고압 전류가
흐르는 지역에 왔겠는가.
주민대표 입회하에
환경영향평가를 다시 하고,
불법으로 추가설치된 4도체
2회선을 즉각 철거해야 한다.
14만5천V 고압선이 지나가는
구리시만 해도 주민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져 고압선의 80이상이
이설됐다.
■장문명(장문명)
송변전처 부처장=당초
토지공사의 요청에 따라
송전선로를 옮겨줬고 은
송전선로에 인접해 아파트를
세우지 않기로 우리와
약속했으며 향후 이설로 인해
문제가 생길 때는 이 책임을
진다는 각서를 한전에 제출했다.
주민들의 요구대로 고압선을
땅에 묻을 경우 공사비가
1천6백억원이나 들어가며
현재로서는 마땅한 부지도 없다.
■신삼철(신삼철) 토지공사
분당사업단 과장=토지공사가
신도시사업을 시행해서 원인을
제공했다고 주민들이 주장하지만
고압선과 철탑의 소유자는
이다. 철탑의 선로 결정
및 이설은 한전에서 한다. 우리측
택지개발사업으로 송전탑이
현위치로 왔기 때문에 책임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주된 책임의
소재는 한전측과 가려야 한다.<
박영철기자 >
입력 1997.02.27. 23:28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