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이 슐지 `러브레터'는 참 깨끗하고 정갈한 작품입니다. 영화는
산악사고로 죽은 애인 후지이 이츠키를 잊지못해 그의 중학시절 주소에
편지를 써보내는 히로코가 뜻밖에 답장을 받으면서 시작합니다. 답장을
보낸 이는 공교롭게도 남자와 똑같은 이름을 지녀 중학교때 허다한
에피소드를 낳았던 여자 후지이 이츠키였습니다. 이와이는 두 여자가
편지를 주고 받으며, 떠나간 한 남자를 추억하는 과정을 섬세히 그리지요.

`러브레터'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마주치지못한 채 홀로 빛나는
순간들입니다. 떠난 자가 지상에 머문 시간은 극히 짧지만 흔적은 도처에
남고, 남겨진 사람들은 그 흔적을 회상하며 온기를 얻지요. 이를테면 눈
벌판에 묻힌 잠자리가 이 영화 핵심 이미지라 할까요.

흥미롭게도 감독은 두 여주인공을 같은 배우에게 맡겼습니다. 이 1인2역
아이디어에선 여러 의미를 캐낼 수 있습니다. 죽은 애인을 오래 잊지못하던
히로코는 여자 이츠키와 편지를 나누며 마침내 그를 떠나보낼 준비를 합니다.
그리움이란 멀리 있는 것을 안타깝게 끌어들이는 인력같지만, 정직하게
말하면 서서히 멀어지는 것을 더 빨리 밀쳐내는 척력에 가깝지요. 그게
아니면 차라리 멀어져버린 것을 인정하는 체념같은 것이겠지요.

하지만 안타까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 대신 남자 이츠키가 옛날에 자기를
사랑했음을 까맣게 몰랐던 여자 이츠키가 옛일을 되새기며 마음속에 그를 위한
자리를 만들어 나가니까요. 이때 1인2역은 한쪽에선 떠나보내고 다른 쪽에선
맞이하는 과정을 한몸에 담아냄으로써 세월이 세상에 남기는 두 운동방향이
결국 둘이 아님을 절묘하게 상징하지요. 한사람이 평생 사랑하는 사람은 결국
한명이라는 연애론까지 말입니다.

`러브레터'는 한 여자가 서랍을 정리할 때 다른 여자가 비밀 서랍을 새로
열어보게 하는 방식을 애용합니다. 히로코가 애인에게 안부를 묻는 외침으로,
끓어오르는 그리움을 끊어 보낼 때, 여자 이츠키가 누운 채 그 말을 되받는
장면을 주술처럼 교차편집합니다. 여자 이츠키가 종반에 자기 이름을 붙인
나무를 만나는 것은 추억의 아름다운 전이을 완성하는 종결부호같은 것이지요.
남자 이츠키가 중학교때 남긴 대출카드뒤 그림을 발견하는 라스트는 축전같은
것일테고요.

`러브레터'는 찬찬히 살펴보면 이렇게 `밀고 당기는' 구조로 가득합니다.
얼굴이 같은 두 여자라는 설정과 함께 이름이 같은 남녀라는 상황 역시 이런
감독 생각을 성실히 변주하지요. 심지어 영화속 제3의 주인공이라 할만큼
강력한 정서적 배경인 눈(설)조차 그렇게 짜놓았지요. 눈은 모든 걸 포용할만큼
장엄하고 아름답지만, 동시에 두 남자 생명을 앗아간 공포의 대상입니다.
감독은 이츠키 아버지가 폐렴으로 죽어갔던 눈보라 속에 이츠키를 넣었다가
살려내기까지 하지요.

정말 세상사엔 절대적 손해나 이익은 없고, 행복과 고통의 총량엔 아무 변화도
없는 듯합니다. 떠나는 것은 돌아오는 것과 배턴을 주고받기 십상이고, 잃는
것은 새로 생기는 것과 맞교대하기 마련이지요. 한해의 끝이 가까워지면서
돌이켜볼수록 자꾸 그런 생각이 드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