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년 2월15일 미국 필라델피아주 펜실베이니아 대학 특별
실험실에 놓인 인류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에 전원이 들어왔다.
진공관 1만8800개가 들어간 컴퓨터는 무게 30t, 42평을
차지했다. 실험실 자체가 컴퓨터의 본체였다. 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의 가로등이 갑자기 희미해졌다. 그 자리에 모인
국방부 관계자, 보도진 대학교수들은 에니악이 `9만7367의 5000승'을
순식간에 계산해 내자 탄성을 질렀다.
20세기 정보화 혁명의 주역 컴퓨터는 군사적 목적에서 개발됐다.
대포나 미사일을 발사할 때 대기온도, 풍속 등에 따른 사거리를
포수들에게 알려주는 탄도 하나를 계산하려면, 200단계를 거쳐야
한다. 노련한 수학자가 가장 정교한 탁상계산기를 이용하더라도
7∼20 시간이 소요됐다. 에니악은 동일한 작업을 30초에 할 수
있었다.
당시 타임은 "1백명의 전문가가 1년 걸려 풀 문제를 2시간에
풀었다"며 현장의 흥분을 전했다. 그러나 에니악은 실용성과는
거리가 멀었다. 미 육군은 에니악을 대학에서 인수하며 48만684달러를
지불했다. 진공관은 열을 못 이겨 타버리곤 했다. 실험실에는 항상
에어콘이 돌아갔다. 현재 에니악보다 1만배 이상 가볍고 처리 속도가
5천배 이상 빠른 3㎏ 가량의 노트북 컴퓨터를 3000달러면 살 수 있다.
미 컴퓨터 전문가는 "만약 자동차 산업이 컴퓨터처럼 발전했다면
롤스로이스 승용차를 단돈 3달러정도면 살 수 있을 것" 이란말로
컴퓨터의 발전상을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