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비롯한 모든 동식물은 하나의 세포가 끝없이 세포분열을 해
수조~수백조의 세포를 가진 성체로 성장한 결과다. 하나의 세포가
동일한 염색체를 가진 두 개의 세포로 쪼개진 뒤 다시 본래의 크기만큼
성장하는 과정을 '세포주기(cell cycle)'라 하는데, 올해 노벨의학상을
공동 수상한 미국의 릴런드 하트웰( Leland Hartwell·61 )과 영국의 폴
너스( Paul Nurse·52 ), 티머시 헌트( Timothy Hunt·58 ) 등 3명은
세포주기 내에서 세포의 분열과 성장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핵심
'조절인자'를 발견한 공로를 평가 받았다.


하나의 세포가 둘로 분열돼 성장하기 위해선 우선 세포핵 내에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염색체가 정확히 둘로 나뉘어져야 하며, 이 과정의
핵심은 세포주기의 각종 조절인자에 의해 이뤄진다. 만약 이
조절인자들에 문제가 생기면 세포 염색체의 변이가 일어나 세포가 무한정
분열하는 암 세포로 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트웰 등의 발견은
암세포의 성장 과정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으며, 나아가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을 가능케 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미국 '프레드 허치슨 암연구센터'의 하트웰 박사는 세포분열에
100여가지의 세포분열주기(CDC)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으며,
특히 '스타트 유전자'라 불리는 CDC28이 세포분열의 첫 단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영국 '임페리얼 암연구 기금'의 폴
너스와 티머시 헌트 박사는 세포의 분열과 성장 과정이 원활하게
돌아가게 하는 데 관여하는 효소 'CDK(사이클린 의존 활성효소)'의
존재와 기능 등을 규명해 냈다.


서울중앙병원 종양내과 강윤구 교수는 "이들이 발견한 유전자나 효소
등을 이용해 암 진단 등이 이뤄지고 있으며, 암세포에서 세포를 무한정
분열시키는 데 관여하는 'CDK' 등을 억제하는 새로운 치료법이 시도
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