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가슴'의 ○○에 들어갈 한자말은? 답은 '豊滿'인데….

자를 '曲'과 '豆'의 조합으로 오인하기 쉽다. 곡물의 이삭을 그릇[豆]에다 풍성하게 담아 놓은 모양을 본뜬 것이니 원형에 더 가까운 셈이다. '풍성하다' '넉넉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滿자는 '(물이 가득 차서 흘러) 넘치다'가 본뜻이니 '물 수'(水)가 의미요소임은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다. 오른쪽 부분은 독립해서 낱 글자로 쓰이는 예가 없기는 하지만, 瞞(속일 만)의 경우를 보면 그것이 발음요소임을 금방 알 수 있다.

豊滿은 '풍족하여 그득함'을 뜻하는데, '몸에 살이 탐스럽게 많음'을 이르기도 한다. 몸은 몰라도 경제는 살찔 수록 좋다. "백성을 안정시키는 방법은 재물을 풍부히 하는 데 있다"(安民之術, 在於豊財-'삼국지').

▶다음은 '同窓'

[(전광진·성균관대 중문과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