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개화가 본격화된 1880년대 조정을 움직이고 있던 유력 정파는 온건개화파, 급진개화파, 민씨(閔氏) 일파, 대원군(大院君) 일파 등 4개였다.
적극적인 개화 정책을 추진하는 ‘개화파’는 개화의 방법론과 모델을 놓고 다시 두 파로 나뉘었다.
‘온건개화파’는 서양의 과학기술만을 받아들이고 정신문화는 거부하는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을 내세웠으며, 중국 청(淸)나라가 서양의 근대기술을 도입하여 자강(自强)을 도모하려던 양무운동(洋務運動)을 모델로 했다.
김홍집(金弘集) 어윤중(魚允中) 김윤식(金允植) 이조연(李祖淵) 등이 대표적인 인물로 이들은 40대를 전후한 나이로 정국을 주도하는 위치에 있었다.
한편 ‘급진개화파’는 서양의 과학기술은 물론 정신문화까지 받아들이자는 입장으로, 구미(歐美) 자본주의 국가를 본떴던 일본의 메이지 유신(明治維新)을 모델로 했다. 김옥균(金玉均)을 필두로 박영교(朴泳敎)-박영효(朴泳孝) 형제 서광범(徐光範) 홍영식(洪英植) 등이 핵심 인물로 당시 20대 후반~30대 전반으로 정부 각 부서에서 실무자로 활약하고 있었다.
‘온건개화파’와 ‘급진개화파’의 가장 큰 차이는 정치체제와 유교(儒敎)의 역할을 둘러싼 입장이었다. 급진개화파는 양반 지배체제를 타파하고 백성의 정치 참여를 확대하며 유교의 틀을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온건개화파는 여전히 양반 지배체제와 유교의 틀 안에서 부국강병(富國强兵)을 추구했다. 즉 급진개화파가 ‘근대 국민국가’를 지향했다면, 온건개화파는 ‘계몽군주 체제’를 선호했던 것이다.
급진개화파는 자신들을 ‘개화당(開化黨)’·‘독립당(獨立黨)’, 온건개화파를 ‘수구당(守舊黨)’·‘사대당(事大黨)’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온건개화파 역시 ‘수구’나 ‘사대’를 추구한 것이 아니었다. 그보다는 개화의 방법론을 둘러싼 차이였기 때문에 그 같은 호명(呼名)은 정치 공세의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민비(閔妃)를 둘러싸고 있는 민씨 일파는 민태호(閔台鎬) 민영목(閔泳穆) 민영익(閔泳翊) 민응식(閔應植) 등 이른바 ‘4민(閔)’이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이들은 개항을 이끄는 등 개화에 적극적이었지만, 더 큰 목적은 자파(自派)의 권력 유지였다.
1882년 임오군란(壬午軍亂)으로 정권에서 밀려날 위기에 처했다가 청나라 군대의 도움으로 이를 넘기자 친청(親淸) 노선을 택했고, 급진개화파와 정치적 입장을 같이했던 민영익이 그들과 갈라선 것도 이 때문이다.
대원군 세력은 1873년 11월 대원군이 정권을 내놓고 물러난 후 정치 일선에서 밀려나 있었다. 그러나 고종의 친형인 이재면(李載冕), 대원군의 둘째 형 정응(晸應)의 아들 이재원(李載元)과 이재완(李載完), 대원군의 조카뻘인 이재순(李載純) 등을 중심으로 재기의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이들은 개화에는 소극적이었고, 역시 자파 세력의 확대에 가장 중점을 두었다.
갑신정변 사흘 동안도 이들 세력은 합종연횡을 거듭했다. 먼저 정변을 일으킨 급진개화파는 민씨 세력을 밀어낸 후 온건개화파 일부와 대원군 일파를 끌어들여 혁명정부를 구성했다.
그러나 사흘째 되는 날 청나라 군대를 등에 업고 반격에 성공한 민씨 일파는 급진개화파를 제거하고 다시 정권을 잡은 후 온건개화파, 대원군 일파의 일부와 제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