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eems to be a non-win situation.'은 '○○이 없는 상황이 될 것 같다'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것은? ①勝利 ②成功 ③成算 ④勝算. 답은 ④번. '勝算'에 대해 알아보자.

勝자는 '맡다'가 본래 의미이니 '힘 력'(力)이 의미요소다. 힘이 있어야 어떤 일을 맡을 수 있기 때문인가 보다. 朕(나 짐)이 발음요소임은 (남을 승)도 마찬가지다. 힘이 있으면 이기기 마련이기에 '이기다' '낫다'는 뜻으로 확대 사용됐다.

算자가 원래는 '대 죽'(竹)과 '갖출 구'(具)가 합쳐진 것이었는데, 具의 형태가 약간 달라졌다. 이 경우의 竹은 수를 셀 때 쓴 대나무 막대기를 가리킨다. '셈하다'는 본뜻이 지금도 그대로 쓰이고 있다.

勝算은 '이길 수 있는 가능성'을 이른다. 말다툼에서 승산이 있게 하자면 어떻게 해야 할까? 소동파의 답, '도리를 깨우쳐 주어 복종하게 하기는 쉽지만, 무작정 힘으로 이기기는 어렵다'(易以理服, 難以力勝 -蘇軾).
▶ 다음은 '복습'

(全廣鎭·성균관대 중문학과 교수·www.ihanj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