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에서는 여러 가지 증거를 토대로 하여 죄의 유무를 가린다'의 '유무'는? ①有無 ②有撫 ③有舞 ④有蕪. '有無'란?

有자는 고기 덩어리(肉→月)를 손(又)으로 잡고 있는 모양을 본뜬 것으로, '가지다'(have) '있다'(there is)는 의미를 나타낼 때 쓰인다.

無자는 편의상 '불 화'(火→?)가 부수로 지정됐지만 의미요소는 아니다. '없다'는 뜻은 모양으로 나타내기가 힘들었기 때문에 이미 만들어진 글자 가운데 [무]라는 발음을 지닌 것을 택하여 빌려쓰기로 하였다(假借·가차). 그래서 간택된 것이 바로 '춤출 무'자의 본래 글자였다. '춤'(dance)과 '없다'(do not exist)가 약 1000년간 같은 글자로 쓰이다가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舞'와 '無'로 각각 달리 나타냈다.

有無(유:무)는 '있음과 없음'을 이른다. 이름나기를 바라지 말자. 자고로 '명성을 낚으려는 자들 속에는 훌륭한 인사가 없다'(釣名之人, 無賢士焉 - '管子').

▶ 다음은 '은원' [정답 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