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테오도어 W. 헨슈(63)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는 로이 J 글라우버(80·미국) 하버드대 교수와 존 L 홀(71·미국) NIST(미 표준연구소) 선임과학자, 테오도어 W 헨슈(63·독일) 루드비히-막시밀리안 대학 교수를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이들은 현대 광학의 대표적인 학자들로, 각각 세부 연구 분야는 다르지만 초정밀시계, GPS(위치확인 시스템) 등의 기술 개발을 가능케 한 양자 광학의 정립에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글라우버 교수는 양자광학이론을 이용해 광자의 행동을 설명한 공로를, 홀 박사와 헨슈 박사는 정밀하게 빛의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각각 인정받았다.

왕립과학아카데미는 보도자료를 통해 "글라우버 교수가 특히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 레이저 광(光)을 이론적으로 설명함으로써 현대 광학의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김동환 한국광기술원 박사는 "빛의 위상을 통해 다양한 광학 현상을 설명하는 그의 이론은 이동전화·TV·라디오 등 다양한 통신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카데미는 또 홀 박사와 헨슈 박사에 대해서는 소수점 아래 15자리 수준의 정확도로 빛의 주파수를 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면서, 이 기술을 통해 초정밀시계·첨단 위치확인시스템(GPS) 등의 기술 개발이 가능해졌다고 평가했다.

이들에게는 총 1000만크로네(13억5000만원)의 상금이 지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