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무게가 약 20㎏에 이르는 통일신라시대 초대형 기와 350여장이 발굴됐다.

토지박물관(관장 조유전)은 16일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남한산성 발굴에서 통일신라시대 초대형 기와 저장소와 대형 건물터 등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발굴단은 “땅을 파서 만든 기와 저장소에는 기와들을 암키와와 수키와로 따로 분류해 차곡차곡 인위적으로 쌓은 상태였다”며 “암키와는 평균 15kg 내외, 수키와는 10kg 내외였다”고 밝혔다.

발굴단은 그러나 “기와 중 길이 64㎝ 내외, 두께 4~5㎝의 초대형 기와들도 10여점 있었다”며 “암키와 중 무거운 것은 19kg, 수키와 중 무거운 것은 14kg이었다”고 밝혔다. 발굴단은 “같은 시기, 국내는 물론 중국이나 일본과 비교해도 최대 규모의 기와로 추정된다”고 했다.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에서 통일신라시대 초대형 기와 저장소가 발굴됐다.

기와 저장공간 바로 옆으로 통일신라시대 대형 건물터가 있어서 이 건물의 기와를 교체하기 위해 준비해 두었다가 사용하지 않게 된 것으로 발굴단은 추정했다. 이 건물터는 정면 14칸 53.5m, 측면 4칸 17.5m 규모로 산성에서 발굴된 통일신라시대 건물터로는 최대였다. 불에 타 붕괴됐으며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 사용 시기는 7세기 후반~10세기 전반으로 보였다.

발굴단은 “유례를 찾기 힘든 대형 기와를 사용했다는 점이나 건물터 벽체의 규모, 그리고 연대측정 결과 등을 종합할 때 고구려를 멸망시킨 직후 신라가 최고 전성기를 구가하기 시작했던 신라 문무왕 12년(서기 672년)에 쌓은 주장성(晝長城)과 관련한 유적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