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액체에 물질을 녹여서 용액을 만들 때 그 액체를 가리킴'이라 정의하는 화학 용어 '용매'의 뜻을 확실하게 알자면, '溶媒'라 쓴 다음에 그 속뜻을 헤쳐봐야….
溶자는 '물이 질펀하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물 수'(水)가 의미요소로 쓰였고, 容(얼굴 용)은 발음요소다. 후에 '녹이다'(melt)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媒자는 '중매인'(a matchmaker)을 뜻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여자 여'(女)가 의미요소로 쓰인 것은 왜일까? 예나 지금이나 여자가 중매를 많이 섰기 때문인 듯. 某(아무 모)가 발음요소였음은 煤(그을음 매)도 마찬가지다. 후에 '중매하다'(act as a broker)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溶媒는 '녹이는[溶] 매개체(媒介體)'가 속뜻이다. 화학에서는 용매가, 인생에서는 중매가 중요하다. 그런데 '마음이 서로 다르면 중매가 어렵고, 정이 깊지 않으면 쉽게 끊어진다.'(心不同兮媒勞, 恩不甚兮輕絶 - '楚辭' 九歌 중의 湘君)
▶ 다음은 '탐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