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회사는 해외 진출을 기도하고 있다'의 '기도'를 '企圖'라 옮겨 쓴 다음에야 그 의미 분석이 가능하니….

자는 발[止] 뒤꿈치를 들고 쫑긋이 서 있는 사람[人]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발돋움하다'(stand on tiptoe) '도모하다'(plan)는 뜻으로 쓰인다. 止자는 원래 '발자국'을 가리키는 것이었는데, 후에 '그치다'는 뜻으로 자주 쓰이게 되자 趾(지)자를 만들어 그 본뜻을 나타냈다.

자의 '큰 입 구'(口)는 국토의 경계를 나타내고, 그 안에 있는 (비)는 '행정구획'을 의미하는 鄙(비)자의 본래 글자다. '(나라의) 지도'(map)가 본뜻인데, '그림'(diagram) '꾀하다'(planning) '강구하다'(devise a plan)는 뜻으로도 쓰인다.

企圖는 '일을 꾀하여[企] 도모(圖謀)함'을 이른다. 안정적이지 못한 일은 도모해 봤자 헛일이다. 노자의 귀띔을 귀담아들어 보자. '발뒤축을 들면 오래 서지 못하고, 걸음을 너무 크게 디디면 오래 걷지 못한다'(企者不立, 跨者不行-老子).

▶ 다음은 '숭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