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마가 서쪽에서 온 까닭은?' '무(無)' '마른 똥막대기'…. 도대체 뜻이 알쏭달쏭한 이런 이야기들이 선승(禪僧)들 사이에선 자연스럽게 오간다. 일반인들에겐 그래서 선(禪)이 더욱 멀게, 벽처럼 느껴진다.

조계종 스님 중 '글쟁이'로 유명한 원철 스님은 최근 출간한 《할로 죽이고 방으로 살리고》(호미출판사)를 통해 이런 현상에 대해 "화두(話頭·참선 수행을 위한 실마리)가 너무 법칙화하고 박제화됐다"고 비판한다. '할(喝)'은 참선하는 사람을 인도할 때 질타하는 고함소리이며, '방(棒)'은 수행을 독려하기 위해 내려치는 몽둥이다. 원철 스님은 해인사로 출가해 은해사·실상사·동국대 등에서 오랫동안 불교 경전과 선어록을 연구하고 강의했으며 중국 송나라 때 대표적 선승들의 수행기를 담은 〈선림승보전(禪林僧寶傳)〉을 번역했다. 또 해인사가 펴내는 〈월간 해인(海印)〉의 편집장을 역임한 경험을 바탕으로 각종 매체를 통해 대중의 눈높이로 불교의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선불교의 화두에 얽힌 재미있는 일화와 배경을 담은 책을 펴낸 원철 스님.

원철 스님이 이 책에서 가장 문제 삼는 것은 화두들이 맥락이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스님은 유명한 화두가 만들어진 배경과 당시 스님들의 인간적 냄새를 되살리려고 한다. 조주 스님의 "차 한잔하게(끽다거·喫茶去)"라는 화두는 사찰의 살림살이를 맡은 원주 스님에 대한 '일대일 법문'으로 해석한다. 살림에 바빠 법문조차 제대로 들을 시간이 없는 원주 스님을 의식하고 일부러 보란 듯 여러 스님에게 "차 한잔하게"라고 한 후, 의문이 생긴 원주 스님이 그 이유를 묻자 "자네도 차 한잔하게"라고 말해서 수행을 유도했다는 것이다. 또 "어떤 것이 부처를 뛰어넘고 조사(祖師)를 뛰어넘는 말씀입니까?"라는 물음에 "호떡이니라"라고 했다는 운문 선사의 '호떡 법문'도 일상생활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한다. 앞뒤 사정으로 미루어 보건대 운문 스님이 호떡을 좋아하니까 자주 만들어 먹은 데서 '운문호병(雲門胡餠)' 화두가 나왔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밖에도 선승들에 얽힌 일화와 수행을 열심히 하는 것을 '방석을 해지게 한다'고 하는 은어(隱語)에 이르기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선불교의 이면을 이해하기 쉽게 소개한다.

원철 스님은 머리말에서 "과거 1700개 공안이 문제가 아니라 그 뒤로 공안이 단절된 것이 더 큰 문제"라며 "그러나 새로운 화두를 만드는 것이 '차나 한 잔 마시게' 대신에 '커피나 한잔하게' 따위의 모방이라면 곤란하다"고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