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발견된‘포항 중성리신라비’. 현존 최고(最古)의 신라 비석으로 확인됐다.

지난 5월 경북 포항에서 발견돼 현존 최고(最古)의 신라 비석으로 추정됐던 '포항 중성리신라비(中城里新羅碑)'는 재산 분쟁과 관련된 소송의 판결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1일 조사 보고서 〈포항 중성리신라비〉를 발간하고, 3일 오전 10시 경주 보문단지 내 드림센터 대회의실에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비문 판독 결과, "과거에 모단벌(牟旦伐·사람 이름)의 것(재물)을 다른 사람이 빼앗았는데 그 진상을 조사하여 진실을 밝혀 본래의 주인에게 되돌려 주고, 향후 이에 대한 재론(再論)을 못하도록 한다" "이런 판결 과정을 반포해 현지인과 후세에 경계로 삼는다"는 내용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비문에는 신라 6부(部) 중 가장 강력했던 '喙部(훼부)'와 '沙喙部(사훼부)'가 등장하며, '居伐(거벌)' '古利村(고리촌)' 등 현재의 포항 부근으로 추정되는 지명이 들어 있었다. '阿干支(아간지·6등급)' '沙干支(사간지·8등급)' 등의 관등명과 '道使(도사)' '使人(사인)' 같은 관직명도 확인됐다.

중성리비는 부정형(不定形) 자연석 화강암(최대 높이 104㎝, 최대 폭 49㎝, 두께 12~13㎝, 무게 115㎏)에 한 면에만 글자를 음각했다. 글자는 전체 12행(行)이며 행별로 최대 20자까지 새겨져 있어 모두 203자가 확인됐다. 비석 하단부의 약 20㎝ 공간에는 글자를 새기지 않았다.

중성리 비문의 제작 시기에 대해서는 학계의 논의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비문 첫 대목에 보이는 '辛巳(신사)'라는 간지가 중요한 단서다. 연구소측은 "비의 형식이나 서체, 비문에 등장하는 6부의 명칭이나 관직명 등으로 볼 때 신라 지증왕 2년(501년)으로 추정되지만, 비석의 한문 구사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신라의 옛 국호인 '斯盧(사로)'를 사용했다는 추정에서 이보다 60년 빠른 441년으로 보는 연구자도 있다"고 밝혔다.

501년이라고 해도 지금까지 최고(最古) 신라비로 알려진 영일 냉수리비(503년 추정)보다 2년 앞선 것이라 이 비가 '신라 최고비'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중성리비는 지난 1989년 '영일 냉수리비'가 발견된 지점에서 동쪽으로 약 8.7㎞ 떨어진 곳에서 발견됐다.

보고서 전문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www.gcp.go.kr)에서 볼 수 있다. 3일 열리는 심포지엄에서는 비문에 대한 금석학적 검토(선석렬 부산대 교수), 어문학적 고찰(권인한 성균관대 교수), 내용과 제작시기(이우태 서울시립대 교수) 등 연구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포항 중성리비는 2일부터 9일까지(7일은 휴관) 국립경주박물관 미술관 1층에서 일반에 공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