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일보(京城日報)는 통감 이토 히로부미의 지시로 창간된(1906.9.1.) 일본어 신문이다. 이 신문은 통감 시대에 창간되어 총독부를 거쳐 일본이 항복을 선언한 후에도 약 4개월간 발행되다가 1945년 12월 10일에야 폐간되었다. 40년 가까이 한국 침략과 식민지 통치를 선전했다. 제3대 총독 사이토 마코토(齋藤實)는 경성일보 사장을 총독부의 2인자에 비유하여 "정무총감은 (총독부) 내부의 총감이고, 경성일보 사장은 외부의 총감이다"라고 했을 정도로 경성일보의 위상은 막강했다.
1906년 2월 통감에 부임한 이토는 한국에서 유력한 신문을 발행하여 침략정책에 활용하기로 마음먹었다. 경성일보라는 제호도 직접 지었다. 그는 경성일보에 깊은 관심을 갖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기사를 샅샅이 읽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사장을 불러 꾸지람하거나 집필 기자를 해직시키라고 명령하기도 했다.
창간 당시에는 일본어판과 한국어판 2종을 함께 발행했다. 한글판을 통해서 대한매일신보의 기세를 꺾어보려 했지만 이토의 의도는 무너졌다. 한글판을 구독하려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하는 수 없이 1년이 지난 1907년 9월 21일 한글판 발행을 중단하고 일어판에 총력을 기울였다. 한국 안에서 어느 신문도 따를 수 없을 정도로 최신 시설과 일본의 일류 기자들을 불러모아 신문을 만들었다.
한일 강제합방 후 초대 총독 데라우치는 일본 '고쿠민신분'(國民新聞;1890.2.1. 창간) 사장 도쿠토미 소호(德富蘇峰:1863~1957)〈두번째 사진〉에게 경성일보와 매일신보(합방 전의 대한매일신보)를 통합하여 두 신문의 경영을 위탁했다. 도쿠토미는 신문 경영인이면서 논객으로도 일본에서 명성을 날린 거물 언론인이었다. 일찍이 민우사(民友社)를 설립하여 '고쿠민신분'과 잡지 '고쿠민노 토모'(國民之友;1887.2. 창간)를 비롯한 잡지와 출판 사업을 벌이는 한편 영향력 있는 글을 썼던 인물이다.
도쿠토미는 정계와 언론계에 폭넓은 인맥을 형성하여 일본의 침략을 미화하고 그 정당성을 주장한 국수주의 사상을 지닌 인물이었다. 조선인에게 언론의 자유를 준다는 것은 "정말로 위험천만"한 일이며, 언론은 혁명사상의 '온상'이 될 우려가 있다는 논리였다.(강동진, '일본 언론계와 조선')
도쿠도미는 지금의 서울시청 자리에 경성일보 사옥〈첫번째 사진〉을 지어 1914년 11월 입주했다. 1923년 말 경성일보는 서울에서 입지조건이 가장 뛰어난 이 건물을 경성부청(시청) 신축부지로 양도하고 부청 부지와 인접한 현재의 언론회관 자리에 새 건물을 지어 이전했다. 서울의 심장부인 현 서울시청과 그 뒤편에 위치한 20층 건물 프레스센터는 일본 언론침략의 본산이 서 있던 자리다. 도쿠도미는 1918년 6월에 물러났고, 1920년대 이후의 사장은 유럽 여러 나라의 대사를 역임했던 화려한 경력의 직업 외교관, 귀족원 의원, 현(縣)의 지사 등 거물급이 임명될 정도로 경성일보는 정치적 비중이 컸으며, 신문은 총독부로부터 '관보'에 버금가는 권위를 부여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