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인사청문 검증 과정에선 일부 후보자들의 신용카드 사용액이 지나치게 적은 것이 주목을 끌고 있다. 소득세 납세자들은 연말 정산 때 연간 500만원 한도로 신용카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 일부 후보자는 공제액을 '0원'으로 신고했다. 이들 후보자가 소득 및 지출이 투명하게 드러나는 신용카드 사용을 꺼렸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김태호 총리 후보자의 경우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년간 연급여가 9000만원 내외였지만, 신용카드 공제액은 매년 '0원'이었다. 김 후보자측은 "연간 소득의 20%(약 1800만원) 이상 사용해야 공제 대상이 돼서 공제 신청을 하지 않았을 뿐 신용카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김 후보자측은 연간 카드 사용액을 2006년 128만원, 2007년 78만3000원, 2008년 607만8000원, 2009년 510만7000원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신용카드 사용이 일반화된 상태에서 4인 가족의 씀씀이로 보기에는 여전히 납득이 가지 않는 액수다. 김 후보자측은 "후보자는 경남지사 활동비가 있었고, 부인과 자식들의 경비는 함께 거주하는 장모가 생활비를 보탰다"고 설명했다.
이재훈 지식경제부 장관 후보자는 지식경제부에 근무하던 2005~2008년엔 신용카드 공제 신청을 했으나 김&장 법률사무소에 근무한 2009년엔 공제 신청액이 0원이었다.
이 후보자측은 "상대적으로 고액 연봉(2억2000만원)이어서 소득의 20%(4400만원) 이상인 공제 기준을 채우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세원 투명화를 위해 신용카드 사용을 권장하는 국세청의 이현동 청장 후보자는 공제액이 연 100만~200만원(신용카드 사용액 3000만원 내외 추정)이었다.
박재완 고용노동, 유정복 농림수산식품, 진수희 보건복지, 이재오 특임, 이주호 교육과학기술, 신재민 문화관광 등 정치권 출신 장관 후보자들은 모두 연 500만씩 한도액을 채워 신용카드 공제를 신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