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판기처럼 돈 내면 열쇠 떨어지고 들어가서 볼일 보고 나오면 되는 것이죠. 모텔 운영하시는 분들이 잠시 쉬어가는 손님들을 전문적으로 받기 위해 착안한 것입니다. 어차피 사람이 있어도 신분증 검사 안 합니다. 나이트클럽 옆에서 그날 만나 그날 거사를 치르는 사람들 신분증을 일일이 검사하다간 장사 말아먹겠죠.”

일하는 사람들(속칭 조바)과 한 번도 마주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모텔인 ‘무인모텔’이 서울 도심 속까지 침입했다. 무인모텔을 이용하려는 사람들은 모텔에 들어가 자판기에서 계산한 후 열쇠를 받거나, 방 안에 설치돼 있는 기계로 현금이나 카드계산을 한 후 방을 이용하면 된다고 한다.

출처=조선일보DB

경찰에 따르면 무인모텔은 2000년대 초반부터 이미 곳곳에 퍼져 있었으며 주로 도시 외곽 지역과 중소도시, 모텔촌 등에 자리 잡고 있었다. 변두리에 머물던 무인모텔은 ‘익명성’이라는 장점에 힘입어 이제 서울 도심에까지 나타났다.

당장 인터넷에 들어가 자신이 사는 지역과 무인모텔을 함께 검색하면 해당 지역의 무인모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무인모텔은 이렇게 종로, 신촌, 강남 등 곳곳에 퍼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인모텔 자체가 문제 되는 것은 아니다. 회사원 박모(28)씨는 “사실 성인 남녀가 개인적으로 무슨 일을 어디서 하든 그게 규제대상이냐”라며 “무인모텔을 이용해 보지는 않았지만, 프런트 데스크 직원이나 청소하는 사람과 마주치지 않아 더욱 편할 것 같다”고 말했다.

문제는 무인모텔이 각종 범죄와 청소년 일탈 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 민주당 최규성 의원은 지난해 숙박업소 주인이 유인숙박업과 무인자동숙박업을 구분해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하고 이용객의 신원을 확인하도록 하는 내용의 ‘공중위생관리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최 의원 측은 일부 청소년들에게 무인모텔이 악용될 수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취지로 법안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무인모텔의 경우 주민등록증을 인식하는 장치가 있는 것도 아니고, 주민등록증을 인식하는 장치를 설치해도 개인정보가 유출되기 때문에 문제”라고 했다.

무인모텔이 성매매 장소로 활용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 경찰관계자는 “유인모텔에서 성매매가 이뤄져도 알기 어려운데 무인모텔에서 그런다면 더욱 힘들다”고 전했다.

한편, 무인모텔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지역의 담당 경찰서는 “우리 관할지역에는 무인 모텔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