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대남공작 부서인 북한 225국의 지령을 받아 국내에서 활동해온 간첩단 '왕재산 조직'이 적발되면서 225국의 실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5일 서울중앙지검에 따르면 북한 225국은 북한의 대남공작부서로 1974년 5월 노동당 산하의 연락부와 문화부를 통합해 문화연락부가 창설된 후 대남연락부(1975년 9월), 사회문화부(1988년 11월), 대외연락부(19978년1월)로 명칭이 변경되다 2009년 2월 소속과 명칭이 변경됐다.
225국의 주요임무는 공작원을 남파시켜 남한 내 정계와 사회 등 각계각층의 인사를 포섭해 조선노동당의 남한지역 지하당을 결성하고 남한체제의 붕괴를 주목표로 활동해 왔다. 이를 위해 이들은 국가기밀 수집과 북한 체제 및 김정일 일가 위대성 선전은 물론 요인암살과 테러까지도 수행하고 있다.
1968년 통일혁명당 사건을 비롯해 1992년 남한조선노동당 중부지역당 사건, 1994년 구국전위 사건, 1999년 민족민주혁명당 사건, 2006년 일심회 사건 등에도 225국은 중심에 있었다.
이번 왕재산 사건의 배후에도 북한 225국은 1980년대 주사파로 활동한 총책인 김모씨를 포섭해 주사파 운동권 출신 3명 등과 함께 2011년 3월 국내에서 혁명사적지로 미화되고 있는 함경북도 온성군 소재의 '왕재산'의 명칭으로 한 지하당을 조직토록 했다.
이렇게 결성된 '왕재산' 조직원은 국내의 각계각층의 인사를 포섭해 국가 기밀을 수집하는 것은 물론 유사시에는 인천지역을 혁명의 전략적 거점으로 주요시설을 폭파할 계획도 세운 것으로 드러났다.
나아가 이들은 2007년 대통령선거와 지난 4월 재보궐선거에도 개입했으며, 조직원 중에는 정치권 내 안정적인 지위확보를 위해 국회의장 정무비서관 등을 역임한 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 지역구 의원으로 출마신청을 제출한 하기도 했다.
이들이 이처럼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었던 이유에는 225국으로부터 전달받은 핵심기술이 큰 힘이 됐다.
225국은 간첩활동 자금조달을 위해 왕재산 조직으로 하여금 위장사업체 '지원넷'을 운영토록하고, '차량번호 인식시스템(LPR)'의 핵심기술을 지원했다.
핵심기술을 지원받은 '지원넷'은 이 기술을 통해 '주차관제 시스템'을 자체 개발한 것처럼 홍보해 2009년 총 22억원의 매출을 달성, 이를 바탕으로 왕재산 핵심지도부 및 하부망의 활동자금으로 사용토록 지원했다.
225국은 또 왕재산 조직원들이 '남조선혁명' 활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수사기관의 추적을 따돌리기 위해 고도의 비밀첩보 활동기법을 지시했다.
총책 김씨는 225국의 지시에 따라 본부를 구매업자, 지도부 성원을 이사회 성원, 조선노동당을 상품안내소로, 정세분석자료를 회사경영전망자료 등으로 변경해 사업 활동인 것처럼 음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또 이들이 이메일을 통해 지령문을 수신하거나 발신하는 과정에는 북한 공작 조직이 개발한 암호화 프로그램인 일명 '스테가노그라피'가 이용됐다.
'스테가노그라피'는 지령문이나 대북보고문 등 비밀메시지를 암호화해 신문기사 등 커버정보 안에 내용뿐만 아니라 존재까지도 완전히 숨기는 최첨단 프로그램으로, 겉으로 보면 단순한 기사로 보이고 내용을 보려면 복호화 프로그램을 이용해야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왕재산 조직은 225국으로부터 해외 접선 시 접선장소와 사업장소 변경 등의 지시를 받고 그대로 실천할 수 있었으며, 20여년 가까이 반국가단체로 활동할 수 있었다.
이진한 부장검사는 "이 사건은 국내에서 북한 225국 공작조직에 포섭돼 지하당을 구축한 후 20년 가까이 간첩활동을 해온 조직을 적발한 것"이라며 북한이 정치권에 침투해 상층부 통일전선을 구축하려 하고 인천지역에 장기간 공작역량을 집중해 결정적 시기에 '남조선 혁명'의 교두보로 활용하려 한 사실을 밝혀낸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