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과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가 17일 4월 총선에서 여야 동시 개방형 국민경선제도(오픈 프라이머리)와 모바일 투표를 도입할 것을 서로 제안하면서, 총선 경선룰 문제가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박 위원장은 이날 한 대표에게 "여야가 동시에 국민경선을 추진하도록 선거법 개정 논의에 착수하자"고 했다. 경선을 여야가 동시에 실시하지 않을 경우 예컨대 A당 지지자들이 B당 경선에 참석해 역(逆)선택을 하는 부작용을 방지하자는 취지다. 한 대표는 국민경선제 원칙에 대해선 공감을 표시했지만, 여야 동시 실시에 대해선 부정적이었다. 우선 어떤 지역구에서 A당은 전략 공천이나 단수 후보를 공천하고 B당은 경선을 치르면, B당 후보들만 사전 선거운동을 할 수 있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통합진보당 등과 선거 연대를 하는 데 동시 경선이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민주당은 선관위가 선거인 명부 관리를 통해 어느 당 경선에 참여한 유권자가 다른 당 경선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국회 정개특위 민주당 간사인 박기춘 의원은 "여야가 합의하는 지역에서만 동시 오픈 프라이머리를 실시하는 방안이 있다"고 했다.
한 대표는 한편 총선 경선에 모바일 투표를 도입하자며 휴대폰 이용자의 거주 지역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선거법 개정 방안을 박 대표에게 전달했다. 박 위원장은 "알겠다"고 했지만, 사실상 반대 입장으로 알려졌다. 박 위원장은 16일 비대위 회의에서 "모바일 투표는 선관위에서도 공정성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투표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이 부분을 해소하지 않으면 도입하기 어렵다"고 했다. 민주당 오종식 대변인은 "돈·조직 선거를 막으려면 모바일 국민경선을 해야 한다"고 했으나, 한나라당 관계자는 "선관위가 모바일 선거 위탁 관리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선거법까지 개정해가며 도입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선거 연대를 해야 하는 야권은 동시 오픈 프라이머리가 부담스럽고, SNS(소셜네트워킹서비스)와 인터넷에서 열세를 보이는 한나라당은 모바일 선거가 불리하게 작용할까봐 우려하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