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가 너무 얇고 가늘어서 눈에 안 들어와요" "표지가 구겨져요" "불편하고 낯설어요"….

지난해 1월 최승호 시집 '아메바'를 낸 이후 출판사인 문학동네에는 독자들의 항의가 쏟아졌다. 시집의 글자체는 얇고 허리가 꼿꼿하게 서있는 듯한 느낌의 'SM세명조체'. 글자가 덜 또렷해 보이고, 왠지 옛날 글씨처럼 보인다. "가독성 떨어지지만 느리게, 단어 하나하나 문맥을 곱씹어 시를 읽었으면 하는 의도"였지만, 독자들은 쉽게 수긍하지 못했다.

문학동네는 최근 안도현 시집 '북항'(20호)까지 출간된 시인선 시리즈를 계속 이 디자인으로 내고 있다.

이런 책을 만들려면, 일반 시집보다 돈과 수고가 많이 들어간다. 일단 판형. 흔히 시집 하면 가로 125㎜, 세로 205㎜ 크기를 떠올린다. 민음사가 1974년 '오늘의 시인 총서' 시리즈에서 도입한 '국판 30절' 판형으로 국내 대표적 '시집 판형'이다. '문학과지성사 시인선'도 이 크기. 국전지(菊全紙, 636×939㎜) 한 장을 30등분했을 때 나오는 크기로, 잘려서 못쓰는 부분이 전혀 없다. 74년 민음사 박맹호 회장이 "당시 싼값에 시집을 보급하기 위해" 꾀를 낸 크기다.

반면 문학동네 시인선은 가로 130㎜, 세로 224㎜. 기다랗고 홀쭉하다. 버리는 부분이 생겼다. 강태형 문학동네 대표는 "과거보다 행이 길어진 요즘 시를 담기에 가장 좋은 판형"이라고 했다.

세로로 길쭉한 문학동네 시인선(왼쪽)과 문학과지성 시인선.

제본 방식, 표지 디자인도 다르다. 제본은 실로 꿰매는 사철(絲綴) 방식. 네 군데 업체를 거치면서 사람이 일일이 꿰매고 접고 붙였다. "기계 대신 사람이 접고 붙이는 제본이나 불친절하고 꼿꼿한 서체는 옛 선비들이 서책을 만들고 읽는 방식과 흡사한 방식"이다.(김민정 문학동네 팀장)

표지 디자인은 미니멀리즘의 극치. 앞표지엔 아무 그림 없이 '문학동네시인선 020 안도현 시집 북항'이란 검은 활자 두 줄만 찍혔다. 그것도 첫 줄은 '시'에서 끝나고 '집'자는 둘째 줄로 넘어간다. 디자인을 맡은 수류산방 측은 "이 한 권이 한 편의 '시'일 수도, 시들의 모음인 '집'일 수도 있다는 뜻"이라고 했다.

시집의 디자인 전체 콘셉트는 '속도' '편리함' 대신 '느림' '불편함'이다. 종이값에 제본비용까지 제작비는 매번 20~30%가 더 든다. 문제는 그 '비싼 파격'을 소비자도, 시인들도 좀 불편해한다는 것.

이쯤 되니 출판사도 마음이 흔들렸다. '이게 아닌가' 할 무렵, 시인선 15호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를 펴낸 장석남 시인이 이메일을 보내왔다. "예전부터 기계로 찍어낸 책이 아닌 손작업을 거쳐 하나씩 만들어진, 사람의 숨결이 담긴 시집을 한 권쯤 가지고 싶었습니다.…이 책은 제본 과정에서 조금씩 그러한 손자국이 남을 수 있습니다. 저는 그것을 더 사랑합니다." 이 편지 하나로 출판사 담당들은 마음이 한결 가벼워진 표정이다. 다행히 항의전화도 요즘엔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