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평양의 릉라인민유원지가 문을 열자 인파가 몰려 암표까지 등장했다고 1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이 최근 평양을 방문한 중국인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지난달 25일에는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부인 리설주와 팔짱을 끼고 릉라인민유원지 준공식에 참석하기도 했다.
중국인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북한에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수영장을 찾는 평양 주민들이 느는 등 일주일 전에 유원지를 예약해야 할 정도로 인기인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릉라물놀이장은 낮에 운영되고 릉라유원지는 저녁 6시가 되어야 개방된다. 유원지도 사람이 많아 4000원짜리 야메표(암표)가 등장했다"고 전했다. 릉라인민유원지 입장료는 2000원이다.
소식통은 "입장권을 가지고 유원지에 들어가서 놀이기구를 이용할 때마다 돈을 또 낸다. 이것저것 타려면 1만원 정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북한 노동자의 한 달 평균 월급은 2000원 정도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인민유원지에서 놀 수 있는 사람은 특권층뿐이라고 RFA는 전했다. 유원지 주변 암표상인들은 정문 입구로 오는 북한 주민들에게 가짜 입장권도 판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릉라인민유원지는 김 위원장이 부인과 팔짱을 끼고 시찰한 곳이어서 사람들의 호기심이 집중되고 있다"며 "김 위원장이 탄 회전매라는 놀이기구를 타보려는 주민들이 유난히 많다"고 말했다.
릉라인민유원지는 놀이시설에 각별한 애정을 보이는 김정은이 "인민들에게 사회주의 부귀영화를 마음껏 누리게 해주겠다"며 야심 차게 추진한 곳이다. 김정은은 유원지 건설 초기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 세 차례나 유원지를 찾았다.
입력 2012.08.21. 11:03업데이트 2012.08.21. 11:05
100자평